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 역사문화유산 - 한국적인 건축 공간과 공예

∐. 序 3. 건축과 공예 3) 내가 좋아하는... (9) 시대의 의지

 

.

   3. 건축공간과 공예

      3) 내가 좋아하는 미감들...

 

(9) 시대의 의지 - ① 기록유산

시대가 만든, 시대를 만든 기록유산들... 꽃이 되고, 또 씨앗이 된 인물들의 향기가...
제왕운기 보물 895
보물1091
1287
1360
동국대학교
삼성출판사
고려
근사록 보물1077 1370
1476
숙명여대박물관 고려
조선
나옹화상 어록 및
나옹화상 가송
보물 697 1379 중앙박물관 고려
선종영가집
선종영가집 언해
보물1297
보물 774
보물1163
1381
1464
서울역사박물관
동국대,서울대
고려
조선
삼봉선생집 권1 보물1702 (1397)
1465년 간
계명대학교 조선
경국대전 보물 1521,2168,2169,2170, 세조(1460) ~ 성종(1471)
정도전(1394, 조선경국전), 태조(1397, 경제육전),
경제육전(호전, 형전, 이전, 예전, 병전, 공전)의 원전과 속전
이이 수고본 격몽요결 보물 602 1577 강릉 오죽헌시립박물관
이순신 난중일기 및
서간첩 임진장초
국보 76 1592 현충사 조선
이순신 유물 일괄(보물 326), 관련 고문서 (보물 1564)
무과홍패(1576), 별급문기(1588), 유지(1595), 선유호상교서(1596), 사명훈유교서(1597),
유서(1591, 1594, 1597) 선무공신교서(1604), 증시교지(1643)
증직교지(1604, 1793), 사패교지(1605, 1653),
승정원일기 국보 303 1623~1910 서울대박물관 조선
일성록 국보 153 1760~1910 서울대박물관 조선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
  1818
1822
1808~1814
정약용 12 조선
대동여지도 보물 850 1861(김정호) 서울역사박물관/
서울대/성신대
대동여지도 목판(보물 1581, 1864, 중앙박물관)
안중근 의사 유묵 보물 569 1910, 26 중앙박물관 등  
백인당중유태화, 년년세세화상사세세년년인부동, 치악의악식자부족여의, 견리사의견위수명, 용공난용연포기재, 인무원려난성대업, 오로봉위필... 세한연후지송백지부조, 사군천리... 장부수사심여철의사임위기사운, 박학어문약지이례, 제일강산, 고막고어자시, 인지당, 인내, 국가안위노심초사, 위국헌신군인본분, 지사인인살신성인, 언충신행독경만방가행, 임적선진위장의무,
윤봉길 의사 유품 보물 568 1931, 13 중앙박물관 등  

 

 

 

 

 

(9) 시대의 의지 - ② 석조예술

익산 미륵사지 석탑 국보 11 639 금마면 용화산 백제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국보 340)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국보 199 640년경 건천읍 단석산 신라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국보 77 633~677 금성산 금성면 신라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국보 25 661 경주 선도산 신라
군위 아미타여래삼존 석굴 국보 106 680년경 팔공산 통일신라
석가모니불, 관세음보살, 대세지보살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국보 39 690년경 경주 현곡면 통일신라
사리장엄구(증앙박물관)
익산 미륵사지 당간지주 보물 236   금마면 용화산  
보은 법주사 석련지 국보 64 720년경 속리산 통일신라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국보 5 720년경 속리산 통일신라
남원 만복사지 석조여래입상 보물 43 750년경 왕정동 기린산 통일신라
마애 약사여래입상(광배 배면)
경산 팔공산 관봉 석조여래좌상 보물 431 800년대초반 와촌면 팔공산 통일신라
구례 연곡사 동승탑,
북승탑
국보 53
국보 54
875년경
905년경
지리산 통일신라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보물 137 883 희양산, 적조탑 통일신라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비(국보 315, 최치원 4산비문)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
석조보살좌상
국보 48 1007
~1100년경
오대산 고려
묘법연화경, 약왕보살
충주 정토사지 흥법국사탑 국보 102 1017 중앙박물관 고려
충주 정토사지 흥법국사탑비(보물 359, 중앙박물관)

 

익산 미륵사지 석탑

익산 미륵사지 석탑, 국보 11호, 639년, 백제... 선화공주는 없지만 무왕의 설화가 그대로 살아난 사리장엄구... 동탑도 서탑도 복원과정에서 숱한 말들이 많았지만, 최소 출발점은 제대로 찾은 듯 싶다... 여기에 3원 3탑의 유일무이한 가람배치의 이야기까지 살아난다면 백제의 역사는 보다 풍부해질지도 모르겠다...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경주 단석산 신선사 마애불상군, 국보 199호, 640년경, 신라... 거칠고 투박한? 어쩌면 날카롭게 다듬어진 기상과 평화로운 미래를 꿈꾼 김유신의 포부가 담겨있다고 볼 수도... 지장보살 - 죽음의 세계, 미륵여래 - 미래의 세계, 이 두세계를 현실에 구현시키고 싶은 관세음보살이 사방을 지키면서 한공간에 공존한다... 600년대 중반, 동북아시아 5국(고구려, 백제, 신라, 수/당, 일본)이 맞부딪힌 격동의 순간이 그 시대를 살아간 영웅들의 심상에 응축되고, 또 해체되듯이...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국보 77호, 633~677년, 신라... 이 탑이 조성된 시점을 이렇게 본 이유는, ① 분황사 모전석탑이 만들어진 이후, ② 기벌포 전투에서 나당전쟁에서 승리하고 한반도의 통합을 이룬 시점을 하한으로 보았다. ③ 그리고 곧바로 682년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이 만들어지기 때문에 그 이전으로... 목탑과 수당의 전탑, 그리고 백제의 석탑의 특징이 한 곳에 집약된... 그래서 당대를 포괄하고, 신라의 색을 새롭게 만들어 가는 이정표같은 탑...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경주 태종무열왕릉비, 국보 25호, 661년, 신라... 당나라의 문물이 그대로 직수입되던 시대... 그 속에서 열어가는 신라인들의 잠재력이 힘차게 고개를 들어올린 첫 발자국 같은...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 국보 39호, 690년경, 통일신라...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으로 완성된 통일신라의 삼층석탑 시대... 백제에서 유행하고 고집했던 오층석탑의 사상과 정신까지도 신라인들은 놔두질 않았다... 신라스럽게 만든 백제식 오층석탑... 

 

보은 법주사 석련지

보은 법주사 석련지, 국보 64호, 720년경, 통일신라... 석련지... 한마디로 연꽃을 기른 수조 같은 화분, 즉 조경석이다... 이만한 조경석이 놓이려면(연꽃이 핀) 얼마나 높고 넓은 자리가 있어야 했을까... 낮게 조성한 연못의 중앙이나 어느 한쪽에 자리잡고 있었겠지...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보은 법주사 쌍사자 석등, 국보 5호, 720년경, 통일신라... 부처님 말씀이 불경이 되고, 부처님 상호가 불상이 되고, 부처님 사리가 탑이 되고, 부처님의 공덕이 세상을 밝히면 등이 되고... 그 등을 떠 받치는 사자좌를 형상화한 석등... 사자하면 생각나는 게 복덕과 반야지혜를 상징하면서 위엄과 용맹을 상징하는 사자를 타고 다니던 문수보살이 생각난다... 그러면 보현보살은? 코끼리 석등은 왜 없지???

 

구례 연곡사 동승탑

구례 연곡사 동승탑, 국보 53호, 875년경, 통일신라... 화려함이 지나쳐 정연함이 깨지고, 장식이 커져 비례와 안정감까지 무뎌지던 시기... 이제 작아지고 축소된 역량에서도 마지막 안간힘을 쓰듯 새겨진 승탑이다...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문경 봉암사 지증대사탑, 보물 137호, 883년, 통일신라... 연곡사승탑과 비슷한 시기... 승탑과 석등 간주석을 받치던 복련은 사라지고, 복련의 귀꽃은 지붕돌로 올라가고, 받침과 괴임 한면 한면 빠뜨림없는 정성이 투영되던 시기의 마지막을 장식한 작품... 바다를 형상화하듯, 구름을 형상화한 듯한 운기문이 복련을 대신하고, 앙련은 시계방향(올려다보면 반시계방향)으로 소용돌이치듯 모든 것들이 해체되어 가던 시대다...

 

구례 연곡사 북승탑

구례 연곡사 북승탑, 국보 54호, 905년경, 통일신라...북승탑의 조성시기를 공식적인 자료는, 동승탑을 모본으로 한 고려초로 설명하고 있지만, 나는 900년 전후로 생각한다. 동승탑에 한세대(30년) 정도 뒤이은 시점으로... 흐트러지던 기단부 하대석이 복련으로 부활했다... 시대의 역행일지, 고전의 복원일지 생각하게 하는...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석조보살좌상

평창 월정사 팔각구층석탑과 석조보살좌상, 국보 48호, 1007~1100년경, 고려... 

 

충주 정토사지 흥법국사탑

충주 정토사지 흥법국사탑, 국보 102호, 1027년, 고려...

 

 

 

 

 

 

 

(9) 시대의 의지 - ③ 건축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국보 328 1173
1623년 중수
경장건축 고려
~조선
목조 아미타여래삼존 좌상(보물1637, 1514)
목각 아미타여래 설법상(보물 989, 1684)
완주 화암사 극락전 국보 316 1425~
1605년 중수
불명산, 하앙구조 조선
안동 봉정사 대웅전 국보 311 1435년 중수 서후면 천등산 조선
영산회상 벽화(보물 1614, 1435)
아미타설법도(보물 1643, 1716)
동종(1813)
보은 법주사 팔상전 국보 55 1624 속리산 조선
구례 화엄사 각황전 국보 67 1702 지리산 화엄사 조선
목조석가여래삼불좌상 및 보살입상(보물2139, 1703), 화엄석경(보물1040, 677/791/887)
논산 쌍계사 대웅전 보물 408 1738 작봉산 (북향) 조선
소조 석가여래삼불 좌상(보물1851, 1605)
수원 팔달문 보물 402 1796 화성 남대문
팔달산
조선
서울 조계사 대웅전
1922년 창건
1938년 이건
정읍 보천사 십일전
서울 조계사 목조여래좌상(보물2162, 15세기, 영암 도갑사)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예천 용문사 대장전과 윤장대, 국보 328호, 1173년, 1623년 중수, 고려~조선...

 

완주 화암사 극락전

완주 화암사 극락전, 국보 316호, 1425~1605년 중수, 조선... 하앙구조가 살아있는 국내 유일한 건축물...

 

안동 봉정사 대웅전

 

 

 

 

보은 법주사 팔상전

보은 법주사 팔상전, 국보 55호, 1624년 중건, 조선...

 

구례 화엄사 각황전

구례 화엄사 각황전, 국보 67호, 1702년, 조선...

 

논산 쌍계사 대웅전

논산 쌍계사 대웅전, 보물 408호, 1738년, 조선...

 

 

 

 

 

(9) 시대의 의지 - ④ 공예

금관총 금동 신발   5세기 중앙박물관 신라
무령왕릉 청동거울일괄 국보 161 526 공주박물관 백제
청동신수경, 의자손수대경, 수대경
익산 미륵사지
서탑 출토 사리장엄구
국보 340 639 금마면 용화산 백제
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 국보 42   조계산, 지눌  
용주사 동종 국보 120 통일신라(854, 염거화상) 조성설
고려초기 조성설, 화성시 용주사
하남 하사창동 철조석가여래좌상 보물 332 940년경 중앙박물관 고려초
성거산 천흥사명 동종 국보 280 1010 천안 천흥사지
중앙박물관
고려
나전 경함 보물1975 13세기 중앙박물관 고려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운룡문 향완 국보 214 1289 삼성미술관리움 고려
아미타삼존도 국보 218 1320년경 삼성미술관리움 고려
금동 대세지보살 좌상 보물1047 14세기 호림박물관 고려말
금동 관음보살좌상   14~15세기 중앙박물관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운룡문 향완

흥왕사명 청동 은입사 운룡문 향완, 국보 214호, 1289년, 고려...

 

 

 

 

 

(9) 시대의 의지 - ⑤ 도자기

청자 순화4년명 항아리 국보 326 993 이대박물관 고려
청자 상감 동채 포도동자문
표형주전자와 받침
  12~13세기 중앙박물관 고려
백자 청화 철채 동채 초충문병 국보 294 18세기 초반 간송미술관 조선

 

청자 상감 동채 포도동자문 표형주전자와 받침

청자 상감 동채 포도동자문 표형주전자와 받침, 12~13세기, 고려...

 

백자 청화 철채 동채 초충문병

백자 청화 철채 동채 초충문 병, 국보 294호, 18세기 초반, 조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