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상 - 心,想,和...

(32)
백제 금동보살입상 5. 사족 2 – 600년대 전후 시대적 배경 * 사진을 클릭하시면 크게...    5. 백제 금동보살입상 사족 2 – 600년대 전후 시대적 배경  이렇게 범위를 넓혀봐도 한반도에서 만들어진 미소를 머금은 불상은600년대 전후 100여년과 800년 전후 60여년에 집중되어 있다.사실 800년대 전후처럼 교역이 활성화되면서 정치적 안정과 경제적 여유가 뒷받침된,혹은 사치와 향락을 위해 절정의 공력과 부를 쏟아부어도 용인될 수 있는 집단적 분위기,이기심과 과시욕이 광기에 휩싸일 때, 화려하고 장중한 불상들은 만들어질 수 있다.그렇지만 미소를 띤 불상이 일반화되지 않는다. 성덕대왕신종과 비천상... 경덕왕의 죽음과 원성왕의 등장은 통일신라 중하대를 구분하는 주요한 계기가 된다. 경덕왕의 위대한 유산 중 하나로 석굴암과 함께 우리나라 문화를 대표하는 성덕..
백제 금동보살입상 4. 사족 1 – 찾아보는 미소들... * 미소를 크게 보려면 클릭하세요...   4. 백제 금동보살입상 사족 1 – 찾아보는 미소들...  물론 조금 더 찾아본다면, 미소 띤 불상이 위에 한정되지는 않을 수도 있다.개개인의 기호만큼, 개념만큼, 상황과 마음, 심지어 (전시를 위한 인위적) 조명마저도 미소의 의미와 깊이를 달리할 수 있다.찾아내는, 만들어 보는 미소를 볼 수 있는 상들을 모아보면 조금 더 넓게 고를 수 있다. 도기 말머리장식 뿔잔(2점)보물 598호5세기중앙박물관동아대박물관신라토우장식 장경호국보 195호5세기경주박물관중앙박물관신라평남 원오리 소조불보살상6세기중앙박물관고구려금동 연가7년명 여래입상국보 119호539년중앙박물관고구려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보물 62호670년경경주 선도산신라순천 송광사 목조삼존불감국보 42호700..
백제 금동보살입상 3 – 미소를 머금은 불상들... * 미소를 크게 보시려면 사진을 클릭하시길...  3. 백제 금동보살입상 – 미소를 머금은 불상들... 답사여행에서 담은 사진들을 다시 찾아봤다.미소 띤 불상들... 얼굴들...명성과 직관, 그리고 나의 눈높이와 심리적 환경, 또 주변관계와 시점이 강제하는 소소한 감상의 편린에, 어쩔 수 없이 작동하는 방어기제와 현실적 괴리감도,결국 내가 열린 상태라면 투영되고 조율되고 기억으로 자리잡게 된다.그속에서 다시한번 미소를 찾아본다. 경주 서악동 마애여래삼존입상/신라/670년경/보물 62호>     진짜, 찾아봐야 보이는 미소가 있다.만들어 보는 미소도 있고...그래서 잊지 못할 미소는 얼마나 될까?하나에 만족하지 못하는 내 관성은 그런 것들을 다시 모으고 분해하기 시작한다.같이 웃을 수 있는 미소를 찾기 위..
백제 금동보살입상 2 – 좌대와 미소 * 사진을 크게 보시려면 클릭을...  백제 금동보살입상 2 – 좌대와 미소  보고 싶었던 미소가 있다.과연 볼 기회가 있을까 싶었던 불상이 있다.그리고 드디어 오늘 볼 수 있었다.감사한 마음으로, 고마운 마음으로, 정말로 기쁜 마음으로...백제의 금동보살입상이다... 2-1     생각해보면 많은 미소가 수식어를 갖고 있다.한국인의 얼굴을 비롯해 백제의 미소, 신라의 미소, 천년의 미소...그리고-또는 순수한, 천진무구한, 화사한, 상큼한, 아름다운 미소...참 많이 찾고, 많이 보려 했다.그리고 오늘, 같이 웃을 수 있는 미소를 본다... 한국인의 얼굴 안동 하회탈, 백제의 미소 서산 용현리 마애여래삼존상, 신라의 미소 얼굴무늬 수막새>     아래턱이 두툼한 게 같이 출토된 부여 규암리 금동관음보살..
백제 금동보살입상 1 – 미소 띤 불상을 찾아서... * 사진을 크게 보려면 클릭...  백제 금동보살입상 1 – 미소 띤 불상을 찾아서... 답사여행을 다니다보면 얼굴을 보고 싶을 때가 있다.슬플 때, 기쁠 때, 근엄한, 느긋한, 친근한...가장 많이 찾았던 건 아마 닮고 싶은 얼굴이 아니었나 싶다.그걸 보편적인, 이상적인, 평범한... 어떤 수식어를 붙이든갖춰진 품과 격을 찾으며 비움과 채움을 탐했는지도 모르겠다... 통일신라 불교예술이 절정에 이른 770년 전후 불상을 모아봤다. 하나는 표정을 잃어버린, 하나는 모두가 아는, 그리고 또 하나는 그때를 생각하며 현대에 표정을 삽입한... 경주남산 석조여래좌상, 석굴암 본존불, 밀양 천황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물론 우리나라 답사여행에서 접할 수 있는 얼굴은 대부분 불상일 수밖에 없다.종교적 이유든, 역..
상현좌 불상3> 700년대 이후 상현좌 불상...170531 <이불병좌상/700년 경/발해/중앙박물관 재현품...> 그러면 600년대 후반, 고구려 멸망 이후 만주에서 이를 계승한 발해는 어땠을까? 발해의 함화4년명 불비상은 상현좌 유형이 아니지만, 이 이불병좌상은 상현좌 양식이다... 수당 뿐만 아니라 고구려에서도 상현좌가 유행했다는 ..
상현좌 불상2> 600~700년 상현좌 불상...170531 <정관13년명 불좌상/639년/당/중앙박물관 자료 스크랩...> 다시 한반도로 돌아오기 전, 600년대 초반에 들어서면 중국, 한반도, 일본 3국 모두는 중대한 전환점에 들어선다. 중국에서는 수나라가 멸망한 다음 당나라가 들어서고, 한반도에서는 신라의 가장 전투적인 외교공세가 펼쳐지며..
상현좌 불상1> 600년대 이전 상현좌 불상 - 상현좌란 무엇?... 170531 상현좌(裳懸座, 치마 상, 매달 현) 양식의 불상들... 창원 삼정자동 마애불을 보면서 상현좌 유형의 불상들을 생각해봤다. 상현좌는 긴 도포를 입은 불상이 앉아있기 때문에 어쩔 수없이 늘어뜨려진 법의가 좌대를 덮고 있는 형상을 단순화 시키지 않거나 과장되게 표현한 양식으로, 치마..
창원2>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정갈하고 단아한 기품의... 170505 1. 불곡사 석조비로자나불좌상, 보물436호, 830년 전후, 불상 101cm, 대좌 89cm, 성산구 대방동 비음산 불곡사 비로전. 창원을 대표하는 역사를 논하려면 구산선문 중 하나인 봉림산문을 빼놓을 수 없고, 문화재에서도 봉림산문 개창자, 진경대사 심희의 보월능공탑과 탑비를 꼽을 수 있을 듯하..
합천 대동사지 석조여래좌상> 자연스럽고 편안한, 부드럽고 온화한...150128 1. 자 그럼 백암리 석불좌상을 살펴볼까? 공식명칭이 대동사지 석조여래좌상인 이 좌상은 한마디로 ‘빼어난 수작!’이다. 보물로 지정되지도 않았고, 제 얼굴을 확인할 수도 없으며, 광배도 없고, 상대석은 깨지고, 이끼 낀 하대석도 선명하지 않지만 단아하고 안정된 자세에서 느껴지는..
서산마애불의 어제와 오늘 ; 불상에서 다시 길을 묻다...140905 탑에서 길을 잃었을까? 탑은 하나도 생각나지 않고 얼굴이 보고 싶다는 생각이 많다. 대상을 통해 나를 채우지 못하고 그냥 나를 편하게 해주는 거울을 찾는 건지도 모르겠다. <그래도 제일 먼저 찾은 건 감은사탑이었지?...> 답사여행 초기... 자연에서 시작한 여행이 역사문화유적 답..
불상> 의성 만장사 석조여래좌상 - 편안한 미소를 만났다...1112 1. 내가 왜 이곳을 택했지? 사진으로만 봤지만 만장사 석조여래좌상의 첫 느낌이 좋았다는 게 하나고, 군위에서 의성, 예천으로 이어지는 지리적 흐름을 눈으로 보고 싶었던 게 또 하나고, 무엇보다 군위 삼존불을 지나 예천 등지로 이어지는 석불좌상의 변화를 보고 싶었던 게 세 ..
석불좌상 9> 광배와 좌대를 갖춘 석불좌상이 소백산맥을 넘지 못한 이유...1201 8. 광배와 좌대를 갖춘 석불좌상이 소백산맥을 넘지 못한 이유... 석불좌상에 대한 생각을 정리하기 시작하면서 오히려 부족함을 많이 느꼈다. 탑만이 아니라 건축이나 가람배치, 부도, 부도비, 석등, 당간지주 등을 비롯해 석불이나 불상도 어지간히 봤다는 오만이 이렇게 하나하..
석불좌상 8> 석불좌상 조성과 지역분포 이해를 위한 몇가지 메모(2)...1112 7-2. 광배와 연화대좌를 함께 갖춘 석불좌상은 우리나라만의 고유한 형식... 그러면 다시 주제로 넘어가서 한반도에서만 유일하게 만들어진 것으로 보이는 광배와 연화대좌와 석불좌상의 조합이 만들어진 시점은 언제부터일까? 인도를 벗어나 대좌에 좌불상이 만들어져 유행하던 ..
석불좌상 7> 석불좌상 조성 시기 이해를 위한 몇가지 메모(1)...1112 7. 석불좌상 조성 시기 이해를 위한 몇가지 메모... 지금까지 나는 광배가 있는 석불좌상들에 대해 정리하면서, 우리나라 광배의 역사와 변천, 그리고 인도와 중국, 고대 일본 등의 광배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 불상 광배의 효시는, 550년 백제 위덕왕에 의해서 그 기틀과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