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탑여행-趣,美,香...

우리나라 사찰 가람배치 3> 고려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1312

 

 

 

 

 

 

   6) 통일신라시대 창건됐으나, 고려시대 가람배치를 유지하고 있는 사찰   

 

                                                                                                                               <표18>      

①통도사

 양산 영축산, 3보사찰 중 법보사찰, 646년 자장 창건, 방등계단,

 금강계단과 대웅전(1644년)(상로전) -세존비각과 개산조당- 대광명전과 관음전(중로전)

 -불이문- 영산전/약사전/극락보전(하로전) 3원체제로 직선축에 직교한 병렬형 확장

②금산사

 김제 모악산, 598년, 762년 경덕왕/진표율사 법상종, 미륵신앙, 장륙상,

 견훤 원찰, 대각국사 의천,

 대적광전(대웅전/대광명전/극락전/약사전/나한전 통합)과 미륵전(1635년, 3층 중층형)

 직교축, 오층석탑(982년)과 방등계단(1660년대), 대장전(1635년), 금강교를 건너 진입,

 대사구/봉천원/광교원 3구역 평지형

③법주사

 청주 보은 속리산, 776년 경덕왕/진표 법상종 미륵신앙, 쌍사자석등, 사천왕석등,

 고려시대 석등 다수, 1624년 벽암선사 중창, 대형 소조삼존불좌상,

 대웅보전/원통전/천왕문(1624년), 오층목탑형 팔상전(1626년), 철당간,

 다불전(용화전과 장륙상/극락전/대웅보전(2층중층형), 직교축형, 선문진입 평지형

④해인사

 합천 가야산, 3보사찰 중 법보사찰, 802년 창건 화엄종 화엄십찰,

 1398년 장판고, 선문진입-누하진입-우각진입, 대적광전-대장경판전

 (수다라장/법보전1488년)까지 기승전결의 4단계 산지중정형

                                                                                                                         

⑤보림사

 장성 가지산, 860년 보조선사 체징, 구산선문 중 가지산파, 철조비로자나불(858년),

 삼층쌍탑과 석등(870년), 사천왕문과 사천왕상(1780년), 대웅전(2층 중층형)과

 대적광전 평지형 직교축 동동남향 평지형, 탐진천 건너 진입

⑥무량사

 부여 만수산, 858년 구산선문 중 사굴산파 범일국사와 성주산파 낭혜화상 무염,

 1633년 진묵대사 중창, 김시습, 대형 소조삼존불좌상, 석등-석탑(900년대중)-

 극락전(1633년, 2층 중층형)과 영산전 직교축 평지형, 만수천을 건너 진입

⑦봉암사

 문경 희양산, 879~881년 지증국사, 구산선문 중 희양산파, 1431년 기화,

 1674년 중창, 산지중정형

⑧봉정사

 안동 천등산, 682년 의상, 극락전(1200년초 창건, 1362년 중수, 주심포 맛배지붕)과

 대웅전(1435년/1362년 추정, 주심포 다포계 팔작지붕) 병렬축 확장,

 고금당과 화엄강당(17세기 맛배지붕), 산지중정형

⑨도갑사

 영암 월출산, 875년 도선국사, 해탈문(1473년), 통일신라삼층석탑,

 고려오층석탑, 서향 평지형

* ①~④번 사찰은 고려시대에 완전히 체계적 구도를 갖추고 조선시대에 공간적 건축적 영역이 지속적으로 확장된 경우이고,

* ⑤~⑨번 사찰은 조선시대 후기 중건 및 중창 과정에서 고려시대 가람배치에서 크게 확장되지 못하거나 축소된 경우임.

 

 

 

    7) 고려시대 가람배치를 유지하고 있는 사찰    

 

                                                                                                                              <표19>

①미륵사지

 충주 중원 월악산, 970년대 광종, 석굴사원, 석탑-석등-석불 북향 직선축

②관촉사

 논산 반야산, 968~1006년년 광종,

 오층석탑-화사창 방형 석등-은진미륵(관음보살입상), 동동남향 평지형 직선축

③운주사

 화순 천불산, 970년 도선국사, 천불천탑과 와불의 전설, 석탑 12기와 석불 70기

 (1940년대까지 석불 213기와 석탑 30여기가 남아있었다고 하는데,

 고려시대 천문도와 같은 배열의 성도로 해석하는 설 우세

                                                                                                                                

④송광사

 순천 조계산, 3보 중 승보사찰, 보조선사 체징 길상사로 창건→보조국사 정혜사→

 보조국사 지눌 정혜결사(1182년)→수선사(1197년)로 개칭,

 국사전(1369년), 하사당(1622년), 영산전(1737년), 약사전(1751년),

 임진왜란 이후 조계종 양맥 중 부휴선사, 평지형, 우화교로 사평천을 건너 진입

⑤수덕사

 예산 덕숭산, 백제 창건,

 대웅전(1150년대 창건, 1308년 중건, 주심포 맛배지붕)

⑥마곡사

 공주 태화산, 1172년 보조국사 지눌 중창, 사내를 관통하는 마곡천을 극락교로

 연결하는데 영산전(1651년)과 대광보전(1813년)/대웅보전(1651년, 2층 중층형)

 2원 확장체제로 평지형, 라마탑 영향(풍마동이라는 철제 상륜부) 오층석탑

⑦선운사

 고창 도솔산, 577년 위덕왕, 1354년 공민왕, 1472년 성종, 1613년 광해군,

 선문진입과 누하진입을 결합한 천왕문, 맛배지붕의 통일성, 평지병렬형,

 선운천을 건너 진입

 

 

 

    8) 고려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성 

 

                                                                                                                              <표20>

특    징

 통일신라 5교9산→(화엄종/법상종/선종)→고려 5교양종(천태종/조계종)

 →교종 몰락/선종 득세(1200년대 무신정권)

 종파 영향으로 본당에 고유명칭 사용, 불단을 중시한 예불의례 중시,

 기존 사찰에 공간적으로 영역을 확대하면서 다불전 정착,

 도선국사의 풍수지리에 입각한 밀교적 택지선정,

 산지가람 쇠퇴와 대규모 도심지 평지형 가람

 일주문/(금강문)/천왕문/불이문 등 산문 양식 정착

기    타

 논산 개태사(936년), 강진 만덕산 백련사(1170년, 1208년 요세/백련결사),

 강진 월출산 무위사(1476년 중건), 대구 팔공산 거조암(1188년 정혜결사),

 평창 오대산 월정사(1307년, 1844년, 1964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