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통일신라시대 창건됐으나 고려시대 중창을 거쳐, 조선시대 가람배치가 우세한 사찰
<표21>
①장곡사 | 청양 칠갑산, 850년 보조선사 체징, 석조대좌, 산지중정형 우각진입 1777년 중수된 상대웅전(1350년경)/하대웅전(1450년경) 2원 확장체제, |
②대흥사 | 해남 두륜산, 대웅전(1665년)과 응진전 북원(800년대중 삼층석탑), 천불전 영역의 남원과 표충사(서산대사, 조선), 광명전 영역 등 4영역체제, 북원과 남원 등은 금당천으로 분계 |
③선암사 | 승주 조계산, 도선국사의 남방비보 삼암사(진주 용봉산 용암사/광양 백계산 운암사), 대각국사 의천 천태종, 1698년 호암선사 중창, 다불전-대웅전(800년후 삼층쌍탑)/원통각/응진각/각황전 4영역체제, 평지형, 2구의 홍교와 강선루를 통해 진입, 대각암 |
④범어사 | 부산 금정산, 678년 화엄종 화엄십찰, 1613~1700년대 중창, 비로전과 미륵전 - 대웅전(1602년) - 명부전/팔상전/나한전 다불전체계, 동향 산지중정형 |
⑤운문사 | 청도 호거산, 937년 보양선사/1129년/1690년 중창, 삼층쌍탑-석등-금당 축에 만세루 축, 전탑지인 작압전, 평지형 누하진입(운문천), 비구니사찰, 진입축과 건물배치축이 평행, 현재 진입방향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추정 |
⑥내소사 | 부안 변산반도 능가산 관음봉, 대웅전(1633년, 꽃문살), 누문 우각진입, 평지형 |
⑦갑 사 | 공주 계룡산, 화엄십찰, 철당간, 1654년, 선문진입-우각진입 |
10) 조선 초기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
<표22>
특 징 | 선종 퇴조/교종 득세, 1507년 승려과거제와 선교양종제 폐지, 도심사찰의 소멸과 종단부재 무종무파 산중불교, 유교건축 영향으로 익공계 양식 확산 야외의 야단법석이 사라지고 일반신도가 법당 내부에서 예불, 설법 강조 부처를 중심으로 보살/신중의 동심원적 구도와 수평적이고 단순한 배치 |
①회암사지 | 양주 천불산, 1328년 지공화상 창건, 1372년/1500년대 보우선사 중창, 지공화상/나옹선사/무학대사의 부도-석등-부도비, 태조 이성계가 머문 궁궐형 구조 |
②신륵사 | 여주 봉미산 남한강변, 1379년 조사당(진영당), 석등-보제존자비-방등계단(조선시대 석종형 부도의 시원), 대장각비(1383년), 1469년 세종의 원찰로 승격되면서 보은사로 개명, 1858년 안동김씨 중수, 조선조 중건된 다층전탑, 지공화상(인도불교의 108대 조사)/ 나옹선사(인도와 중국불교의 조사선맥 109대 조사)/무학대사 |
③개심사 | 서산 상왕산, 1484년/1740년 중창, 대웅보전(1484년), 심검당(1477년), 안양루 우각진입 |
④용문사 | 예천 매봉산, 936년 태조, 산지구릉형 대장전(1670년)영역과 조선조 산지중정형 보광명전의 병렬축, 윤장대와 목불좌상/목각탱 |
기 타 | 안동 천등산 개목사(1457년), 남양주 운길산 수종사(1459년), 고성 금강산 건봉사(1464년), 경산 팔공산 환성사(1480년), 춘천 오봉산 청평사(1557년), |
11) 1600년대 조선 중기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
<표23>
특 징 | 선종중심 무종파, 정토신앙을 고수한 교학적 체계, 산지중정형 통불교적 가람배치, 1623년 인조의 승려 도성출입금지(1897년 해제), 전국적 사찰 중창과 재건 시대, 재원과 목재 고갈로 건축 및 사찰 규모 축소, 양식적 퇴화, 선방/강당/염불방 통합 |
⑤봉은사 | 서울 수도산, 1530년 선릉(성종릉)의 원찰, 1550년 보우 중창과 선종수사찰 (교종 수사찰은 광릉의 원찰인 남양주 진접 운악산 봉선사), 1552년 선과 개최(1회 급제자 서산대사 휴정, 사명당 유정은 4회 급제자로 봉선사에서), 1559년 현위치로 이건, 벽암대사 중창, 1692년 중창, 1939년 판전을 제외하고 전소 |
⑥화암사 | 완주 불명산, 백제식 하항구조 극락전(1605년)과 우화루(1611년), 산지 중정형 |
⑦전등사 | 강화 정족산성 내, 1266년 창건, 1621년 중수, 조선왕조실록 보관 장사각, 대웅전(1621년)/향로전/약사전(1621년)/명부전, 산지병렬형 |
⑧미황사 | 해남 달마산, 대웅전(1598년,1754년 중건), 응진전(1598년) |
⑨은해사 | 영천 팔공산, 1270년/1589년/1698년 중창, 백흥암(1651년), 보화루(1730년), 산지중정형 |
⑩파계사 | 대구 팔공산, 1695년 삼창, 목조관음보살좌상 |
기 타 | 영광 모악산 불갑사(1608년), 대구 팔공산 북지장사(1623년), 속초 설악산 신흥사(1644년), 산청 지리산 율곡사(1650년), 안성 죽산 칠현산 칠장사(1674년), 괴산 칠보산 각연사(1668년), 완주 추줄산 위봉사 |
12) 1700년대 이후 조선 후기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
<표24>
특 징 | 유교의 보수화, 인구의 폭발적 증가와 온돌 보급 확대로 최악의 목재수급, 향교/서원 건축이 사찰에 유입, 좌우요사+강당과 접객의 다목적 누마루 정착, 소규모 산지중정형, 불전에 마루 정착, 대웅전 위주(공포구조 강조), 화려해지는 내부 장식(꽃살문, 탱화, 불화, 불단 등) 1800년대 이후 불교 쇠락, 세도가들의 탄압과 차/종이/양초/먹 등 공납 |
⑩개암사 | 부안 변산반도 능가산, 634년 창건 주류성 백제부흥운동, 대웅전(1636년/1658년 중건), 명부전(1728년) |
⑪송광사 | 완주 종남산 위봉산성, 1636년 중창, 대형소조삼불좌상, 소조사천왕상, 십(十)자형 범종루(1856년), 평지 직선형 |
⑫흥국사 | 여수 영취산, 1195년 보조국사 지눌 창건, 임진왜란 정유재란 승병 훈련소 호국사찰, 홍교(1636년), 팔상전(1690년), 선당(1790년), 심검당(1812년), 단일 선형축의 산지 중정형 |
⑬용주사 | 수원 화산, 854년 갈양사로 창건, 950년대 고려 범종, 칠층석탑과 보제루 돌기둥, 1790년 정조, 사도세자의 원찰, 단원 김홍도 서양화풍 후불탱화, 불설부모은중경판 |
기 타 | 김천 황악산 직지사(1700년), 울진 천축산 불영사(1721년), 정선 태백산 정암사(1771년), 구례 지리산 천은사(1774년), 의성 등운산 고운사(1835년), 밀양 재약산 표충사(1839년), 강화 석모도 낙가산 보문사(1893년) |
'탑여행-趣,美,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시대 삼층석탑 67> 보물327호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1312 (0) | 2013.12.26 |
---|---|
신라시대 삼층석탑 66> 김헌창의 난과 통일신라 전제정치의 몰락...1312 (0) | 2013.12.24 |
우리나라 사찰 가람배치 3> 고려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1312 (0) | 2013.12.22 |
우리나라 사찰 가람배치 2> 통일신라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1312 (0) | 2013.12.22 |
우리나라 사찰 가람배치 1> 삼국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1312 (0) | 2013.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