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탑여행-趣,美,香...

삼층석탑 69> 전성기 통일신라의 700년대 삼층석탑에 대한 메모 <목차>...1401

 

 

 

 

 

전성기 통일신라의 700년대 삼층석탑에 대한 메모...

 

 

1. 통일신라의 전성기, 700년대 삼층석탑

   - 통일신라 전성기 탑들은 어떤 미감을 가지고 있을까?

   - 전성기 석탑들의 종류와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시대별, 유형별 변천

   - 사진> 사진으로 보는 석탑의 세부 양식의 변화

 

 

2. 고구려에는 석탑이 없었을까?

   - 우리나라는 왜 석탑을 만들게 되었을까?

   - 고구려 고분벽화를 통해 살펴본 고구려 석조건축 기술

   - 고인돌 문화를 계승한 적석총

   - 고구려 석탑이 단절된 이유

 

 

3. 석탑의 건축적 결구방식과 공예적 구조, 그리고 괴체감의 개념 정리

   - 백제계/신라계/고려계 석탑의 고유한 미감과 잘못 혼용된 석탑들 - 미륵사지 동탑, 귀신사탑 등

 

 

4. 우리나라 최초의 석탑은 무엇일까?

   - 익산 미륵사지 서탑일까?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일까?

   1) 우리나라 최초의 석탑과 관세음응험기

   2)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미륵사지 서탑의 체감과 양식 비교

     - 미술사학의 태두, 우현 고우섭 선생에 대한 짧은 메모

     - 목탑을 번안 한 석탑과 모목석탑의 차이

   3) 정림사지 오층석탑 - 최초이면서 시원적 형태에 담긴 원형질

 

 

5. 백제석탑의 완성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 백제(정림사)계와 통일신라계 석탑의 특성 비교

     - 사진> 목탑 구조에 대한 짧은 메모

   2) 석탑의 기단부 탄생과 백제 석탑의 완성

     - 사진> 적석총 묘상건축(향당)을 통해본 기단부의 변화와 특징

   3) 기단부와 일층몸돌의 비례를 통해 본, 백제 석탑의 한계와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변화

     - 사진> 석탑몸돌 하부의 괴임에 대한 짧은 메모

 

 

6. 신라시대 석탑의 시원

   1)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 정복국가 의지를 표방한 신라 호국불교의 기념비

   2) 경주 분황사 모전석탑 - 고구려 장례문화와 친당적 불탑조성문화의 절충

   3)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시원

     - 백제의 오층석탑양식과 모전석탑의 조합

     - 탑의 분류와 모전석탑의 개념에 대한 메모 ; 탑리리 오층석탑은 모전석탑이 아니다 !

     - 사진> 전탑과 모전석탑 모음

     - 탑리리 오층석탑이 만들어진 시대적 배경

 

 

7. 600년대 초반부터 600년대 후반 문무왕대까지의 시대적 배경

   1) 600년대 이후 신라의 교통로와 영주, 의성, 군위 등 유물의 상관관계

     - 600년대 고구려/백제/신라 국경의 의미와 삼국통일의 현실

   2) 600년대 신라에서 조형한 탑과 불상의 내용과 상관관계

     - 문무왕이 주요 교통로에 추모와 결의를 위해 조성한 기념물적 유물과 지역들

     - 삼국시대 불상의 변천과정과 신라시대 불상 조형과정의 특징

     - 사진> 신라의 미륵불과 미륵보살상

   3) 600년대 중반 고구려, 백제 유민들의 신라유입

     - 석탑조형을 비롯한 신라불교미술의 기술력과 노동력은 어떻게 확보됐을까?

     (1) 고구려의 영향 - 소형금동불 조형을 중심으로...

     (2) 당나라 포로와 백제 유민들의 역할

     (3) 백제, 고구려 유민들이 흡수된 새로운 생산 시스템과 영향

 

 

8. 통일신라 불교의 출발과 경주 감은사/고선사 삼층석탑의 진정한 의의

   1) 감은사와 고선사지 삼층석탑(682년)

   2) 통일신라 불교와 원효대사

     - 불교 공인과 중앙집권체제 완성의 상관관계에 대한 짧은 메모

     - 가람배치의 재해석 ; 정토신앙의 공간적 구현

   3) 감은사/고선사 삼층석탑 - 거석신앙에서부터 출발한 석조예술의 일관성 획득

     - 사진> 신성화된 청동기 유물, 거석신앙의 흔적들, 우주목 신앙의 변천, 무덤의 변천과 탑

   4) 통일신라인들이 삼층석탑을 만든 이유

     (1) 불탑의 평면구성과 층수의 의미 - 중국/고구려/백제

     (2) 황룡사 9층탑의 의미와 신라시대 불탑의 층수

     (3) 통일신라시대, 삼층석탑이 만들어진 이유

   5) 감은사와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경주 동쪽 진출로/동해로 이어지는 길의 처음과 끝에 위치한 고선사탑과 감은사탑

     (2) 석탑의 선후를 판단하는 근거들

     (3) 고선사탑과 감은사 동서탑의 차이점

       - 석탑 노반의 변화

     (4) 3탑의 선후를 가르는 주요한 논점들 - 어느 탑이 가장 먼저 만들어졌을까?

       - 감은사 동탑에서 읽을 수 있는 석탑의 구조적 안정성

     (5)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의 공통점과 차이점 - 전성기 통일신라 석탑의 특징과 품격에 대해...

 

 

9. 700년대 전성기 통일신라의 석탑들...

   1) 통일신라 석탑 조성 순서를 판단하는 기준

     <표1, 주요석탑 상층기단부 중대석 및 일층몸돌의 높이와 넓이의 비례>

     <표2, 주요 오층석탑 각층 넓이와 높이 비례>

     <표3, 주요 삼층석탑 각층 넓이와 높이 비례>

   2) 통일신라시대 초기 석탑들...

     (1) 경주 나원리 오층석탑(682~706년) - 백제석공들이 만든 통일신라 오층석탑

     (2) 경주 황복사 삼층석탑(692년)과 쌍둥이 석탑, 천군동 삼층석탑 - 통일신라 석탑 양식의 정형화

     (3) 경주 장항리 오층석탑(710~720년) - 성덕왕대, 세련되고 우아한 미감의 시작

   3) 전성기 통일신라시대 석탑들(720~780년대)...

     (1) 성덕왕에서 경덕왕까지 시대 배경

     (2) 전성기 통일신라 석탑의 유형별 분류와 특징

       - 지도> 기념비적 석탑의 분포도

       - 지도> 장중하거나 남성적인 미감을 가진 석탑 분포도

       - 지도> 우아하고 세련된 미감을 가진 석탑 분포도

       - 지도> 전탑과 모전석탑 분포도

     (3) 700년대 조성된 석탑과 석불 등 불교미술

       가) 700년대 통일신라 석불

       나) 700년대 통일신라 석등

       다) 700년대 통일신라 당간지주

         - 미륵사지 당간지주를 백제 유작으로 보는 이유

         - 사진> 통일신라 당간지주의 유형 ; 불국사형, 고구려형

       라) 700년대 통일신라 금속공예

       마) 700년대 통일신라 불교미술과 석탑

 

 

10. 700년대 후반 통일신라 불교의 완성 - 불국사

   1) 불국사 다시보기

     (1) 통일신라 가람배치의 완성 - 불국사

     (2) 불국사 - 이상의 해체와 이성의 과잉

     (3) 석가탑/다보탑의 진짜 이름과 무구정경/다라니신앙

       - 우리나라 사찰 5대 전각의 당호와 불상의 배치 - 정토신앙에 대한 짧은 메모

       - 사진> 다라니신앙에 근거하여 석탑에 봉안된 소탑 모음

   2) 석가탑 - 손 댈 수없는 아름다움

     - 석가탑 조형의 시대적 배경

     - 석가탑에 숨겨진 수학적 안배, 석가탑은 도면 없이 만들었을까? ; 석가탑 종단면도

     - 수학적 일관성과 경험적 완결성의 통일

     - 참고> 석가탑과 황금비율

   3) 다보탑 - 통일신라 불탑의 전환점

     (1) 모목석탑의 완결 - 과거의 집대성

     (2) 모방과 흉내를 거부한 독창성 - 다보탑과 똑같은 탑은 없다, 다보탑의 비례를 변형한다면...

     (3) 통일신라 불탑의 전환점 - 다양한 이형등장과 승탑의 모티브

       - 통일신라 승탑의 탄생과 변화에 대한 메모

     (4) 석가탑과 다보탑의 배치와 불국사 이후 통일신라의 변화

 

 

11. 700년대 후반 전성기 통일신라 석탑 조성체계의 변화와 석탑 편년

   1) 700년대 후반 통일신라 정치적 사상적 지형의 변화

   2) 전성기 통일신라 석탑의 제작편년에 대한 메모

   3) 통일신라시대 석탑 편년

     (1) 삼국시대 석탑 ( ~663년) <표5 : 삼국시대 석탑과 불탑>

       - 왕궁리 오층석탑의 백제 조형 근거

     (2) 통일신라 전기 석탑 (661~702년) <표6 : 통일신라 초기 불탑>

     (3) 통일신라 중기 석탑 (702~785년) <표7 : 통일신라 전성기 불탑>

     (4) 통일신라 후기 석탑 1 (780~828년) <표8 : 통일신라 과도기 불탑>

     (5) 통일신라 후기 석탑 2 (822~901년) <표9 : 통일신라 후기 불탑>

     (6) 통일신라 후기 승탑 (822~901년) <표10 : 통일신라 후기 승탑>

     (7) 통일신라 말기 석탑 (898~935년) <표11 : 통일신라 말기 불탑>

       - 고려시대 석탑의 특징

 

 

12. 전성기 통일신라 석탑 편년과 관련한 몇가지 문제 검토

   1) 경주 남산 창림사지 삼층(?)석탑 - 팔부신중으로 장엄된 기단부의 탄생

     - 출토유물과 석탑의 편년

     - 석탑 편년 설정에 일차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들

     - 사진> 통일신라 석탑의 팔부신중 등 주요석탑의 조각 양식 변천

     - 사진> 통일신라 석탑의 일층몸돌 문비의 양식 변천

     - 도면> 창림사지 석탑의 오층 추정도

   2) 창녕 술정리 동 삼층석탑 - 통일신라 석탑의 양식적 완성

     - 통일신라 석탑의 수리적 체계와 수학적 질서

     - 사진> 주요 석탑의 비례와 조화

     - <표12> 기단부 결구방식을 통해서 살펴본 통일신라 석탑의 편년

     - 사진> 통일산리 후기 석탑의 기단부 변천

     - 사진> 고려시대 석탑 기단부와 괴체감에 대하여

   3) 경주 미탄사지 삼층석탑 - 경주의 확장과 전성기 석탑의 미감

     - 경주의 확장과 풍수비보 사찰의 등장

     - 석탑의 비례와 미감에서 읽히는 시대정신

     - 지붕돌 층급받침과 석탑 편년의 상관관계에 대하여

     - 사진> 3단 층급받침을 가진 백제, 통일신라, 고려의 석탑들

     - 사진> 통일신라 석탑 층급받침의 다양한 변화

     - 사진> 800년대 중반을 전후한 시기, 4단 층급받침 석탑들의 체감과 미감 비교

   4) 울산 간월사지 삼층쌍탑과 석남사 삼층석탑 - 석탑의 복원과 원형추정에 대해

     - 간월사지 석탑의 편년과 간월사지 석조여래좌상과의 상관성

     - 통일신라 과도기부터 얇아지는 석탑의 지붕돌 ; 사진> 700년대, 800년대 석탑의 지붕돌 변화

     - 미감과 양식의 불일치 ; 복원의 잘못일까? 앞당겨진 편년설정이 문제일까?

 

 

13. 석탑의 복원에 대하여

   1) 문화유산 답사여행의 활성화와 문화재 복원의 현주소

     - 사진> 경주 월성교 복원과 누교 건축물들...

   2) 석탑 복원과 보수를 위한 몇가지 원칙

   3) 문화유적 복원을 통해 회복할 문화원형과 정체성, 그리고 미래를 향한 스토리텔링

 

 

14. 780년대 이후 전성기 통일신라 석탑 양식의 해체와 쇠퇴 - 기념비적 이형석탑의 등장

   1) 780~828년 정치적 배경의 변화 - 지방호족이 등장할 수 있는 객관적 조건의 형성기

     - 지도> 과도기 석탑의 분포도

   2) 780~828년 불교내부의 흐름과 변화 - 선종이 등장할 수 있는 객관적 조건의 형성기

   3) 780~828년 과도기 석탑의 공통점 - 시대정신을 반영한 미감과 체감을 중심으로...

   4) 선산 낙산동 삼층석탑 - 과도기 석탑의 다양한 실험과 변화

     (1) 석탑 감실의 변화 - 분황사탑, 미륵사탑, 탑리리탑에서 시작한 감실의 변화

     (2) 과도기 석탑의 미감과 체감 변화

     (3) 이형석탑의 특징과 지붕돌의 변화

   5)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 목탑의 완벽한 번안과 석탑의 모형화

   6)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 풍수비보와 결합한 과도기 호국불교의 기념비

     - 지역 배경과 편년에 대한 다양한 입장 검토

     - 지도> 중원문화권 주변 유적과 유물 분포도

     - 탑평리 칠층석탑의 세부비계와 체감 검토

   7)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 경전에 근거한 이형석탑의 완성

     (1) 화엄사 가람배치 - 평지형 산지가람배치와 화엄사 공간경영의 묘미

       - 사진> 우리나라 대표적인 가람배치 유형

       - 사진> 수덕사와 부석사의 간단한 공간경영 비교

     (2) 화엄사 석축과 계단이 만드는 공간경영의 미학

       - 사진> 석단과 계단의 의장적 기능 ; 궁궐건축을 중심으로

       - 사진> 계단과 건축물의 조화

     (3) 백제 땅에 꽃피운 통일신라 가람배치

       - 양보와 절충, 그리고 중용이 만들어낸 느슨한 균형

       - 사진> 동아시아 각국의 사찰 진입공간 풍경

     (4) 화엄석경 - 대웅전, 각황전, 탑원 등 3영역으로 분리된 가람배치와 화엄사 조성시기 검토

       - 사진> 주봉축과 주금당의 축선 비교

       - 사진> 화엄사 각황전축과 800년 전후 주요사찰의 중심축 비교

     (5)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의 조형적 특징과 편년

       - 사진> 연화장좌대를 갖춘 석불과 석등

       - 사진> 사자좌를 갖춘 석불좌상

       - 사진> 석불과 승탑의 좌대 및 석탑의 사자상

 

 

15. 우리나라 사찰의 시대별 가람배치

   1) 고구려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 <표13>

   2) 백제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 <표14>

   3) 신라시대 (660년 이전)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 <표15>

   4) 통일신라시대(670~780년) 가람배치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사찰 <표16>

   5) 고려시대 중창됐지만, 통일신라 하대의 가람배치를 유지하고 있는 사찰 <표17>

   6) 통일신라시대 창건됐으나, 고려시대 가람배치를 유지하고 있는 사찰 <표18>

   7) 고려시대 가람배치를 유지하고 있는 사찰 <표19>

   8) 고려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 <표20>

   9) 통일신라시대 창건됐으나 고려시대 중창을 거쳐, 조선시대 가람배치가 우세한 사찰 <표21>

  10) 조선 초기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 <표22>

  11) 1600년대 조선 중기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 <표23>

  12) 1700년대 이후 조선 후기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 <표24>

 

 

16. 820년대 이후 통일신라 석탑의 변화

   1) 822년 김헌창의 난과 흥덕왕, 그리고 선산과 의성의 탑리리 오층석탑 아류들...

     - 사진> 822년 이후 석탑과 석불좌상, 승탑의 변화

     - 사진> 괘릉과 흥덕왕릉의 석조유물 비교

   2)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 탑리리 오층석탑을 계승한 기념비적 이형석탑

     - 사진> 사리함의 변화

     - 사진> 보각형 사리내함의 변화와 투각 보각형 사리함 모음

   3) 선산 죽장동 오층석탑 - 기념비적 이형석탑의 대미와 전성기 석탑양식의 해체

 

·

17. 전성기 통일신라 석탑을 마무리 하면서...

   - 800년대 전반기 석탑의 변화

   - 경주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한 통일신라의 한계

   - 요약

 

 

* 글을 다 올리지 못한 상태에서 목차를 정리했다.

* 블로그에 올린 글의 특징이 연속성 보다, 하나 하나의 완결성에 있다고 보여 사진 자료 등이 중복된 경우가 많은데,

  몇몇 사진 모음은 순서를 변경할 필요가 있을 듯 싶다.

  또 중복된 내용도 과감히 정리할 필요가 있을 거 같고...

* 아직 마무리 하는 말과 머릿말을 메모만 해 놓은 상태인데, 지금 맥이 끊기지 않은 상태에서 정리할 수 있었으면 좋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