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 역사문화유산 - 한국적인 건축 공간과 공예

∐. 序 1. 한국적인 12) 경관조경(景觀造景)과 누각(樓閣)

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 序 1. 한국적인

 

   12) 경관조경(景觀造景)과 누각(樓閣) : 잉여권력이 만들어낸 최고의 유희공간

 

진주 촉석루 화재/국보해제 1241년 창건 1618년 중건 1960년 재건 남강
창덕궁 주합루 보물 1769 1776년 창건     부용지
밀양 영남루 보물 147 1365년 창건 1637년 재건 1844년 재건 남천강
남원 광한루 보물 281 1434년 창건 1626년 중수 1879년 중수 광한루원
강릉 경포대 보물 2046 1326년 창건 1628년 중수 1897년 중수 경포호
제천 청풍 한벽루 보물 528 1287년 이전 1634년 개창 1985년 이건 충주호
삼척 죽서루 보물 213 1266년 이전 1403년 중건   오십천
평양 부벽루 북한국보17 393년 창건 1614년 중수 1959년 중건 금수산
모란봉
조선 3대 누각(누정) 진주 촉석루, 밀양 영남루, 평양 부벽루(부벽완월)
조선 3대 익루 밀양 영남루, 남원 광한루, 청풍 한벽루

<진주 촉석루 : 입지, 건축, 규모, 역사 등 모든 면에서 우리나라 누각건축을 대표한다...>

 

 

 

* 우리는 정원을 장소에 따라 구별할 수 있다. ❶궁궐에 조성된 궁궐정원, ❷사대부의 사택정원, ❸향촌의 공동공간인 마을정원, ❹별장 같은 별서정원, 그리고 ❺선비들의 문화공간인 누정으로그러나 사대부주택의 정원과 마을의 공동정원은 실체가 불분명하고, 누정공간도 누(樓)와 정(亭) 외에 당(堂), 재(齋), 각(閣), 헌(軒), 암(庵), 대(臺), 관(館), 서(墅), 사(舍), 실(室) 등으로 다양한 이름을 가지고 있어 명확한 분류가 쉽지 않았다.

 

<밀양 영남루 : 익랑을 갖추고 있으면서, 내부에 사신도를 비롯해 가장 많은 용이 웅크리고 있는 건축물이다. 몇마리였지?...>

 

 

 

* 해서 나는 자연과 조화를 이룬 건축공간 경영으로 적극적인 경관을 만들어내는 조경(造景)이란 광의의 개념으로 접근하여, ❶특정목적을 가졌지만 불특정 다수에게 개방된 규모 있는 공간을 정원, ❷자연경관을 적극적으로 살리기 위해 최소의 공간연출의 꾀한 공간을 원림, ❸공적인 용도를 우선하지만 경관을 감상하면서 대중적으로 개방된 공간을 누각, 그리고 ❹경관감상을 목적으로 가장 소박하고 단순하게 사적용도로 지어진 공간을 정자 등 크게 4가지로 구분했다.

 

<강릉 경포대 : 우리나라 누각, 누정 건축 중 가장 화려한 건축이다... 내부는 3단으로 나뉘어 또다른 변화의 맛을 느낄 수 있다...>

 

 

 

* 다만 건축공간의 완성도와 목적에 따른 완결성에 따라 많은 공간을 골라볼 수 있으나, ‘자연과 건축공간의 조화가 하나의 경관으로 창출된다면’이란 가정을 두고 접근했기 때문에 일반적인 주택의 정원과 다른 범주의 공간들이 선별될 수밖에 없었고, 이런 이유로 궁궐과 사택(또는 고택)을 제외했다. 특히 궁궐과 사택정원이 한정된 공간에서의 조경이라면, 내가 생각하는 정원과 원림 등은 입지(立地)와 점지(點地)를 먼저 고려한다는 점에서 큰 차이가 있다.

 

<제천 청풍 한벽루 : 수몰 문제로 이건 되었지만, 청풍문화재 단지 자체가 뛰어난 풍광을 갖추고 있어 여전히 위력적이다...>

 

 

 

* 또한 누각과 정자는 주변경관을 감상한다는 공통점이 있지만, 공공목적으로 대중적으로 개방된 곳과 사유화된 공간이라는 차별성과, 정자는 단순히 경관 감상용으로 입지에 방점이 찍힌다면 누각은 위락의 공간으로 내부 공간의 완결성도 중시될 수밖에 없다는 차이점도 있다.

 

<삼척 죽서루 : 최순우 선생이 점지의 묘에 대해 극찬하던...>

 

<장성 백양사 쌍계루 : 대표적 누각으로 꼽지는 않았지만, 보는 맛이 있는...>

 

 

 

* 개인적으로 선호하는 정자(각 등을 포함)를 골랐으나, 경관조경에 포함시키지 않았고, 개별 건축물에 대한 맛과 멋은 건축으로 따로 나누어 꼽았다.

❶부용정, ❷경렴정(소수서원), ❸계정(독락당), ❹방화수류정, ❺광풍각(소쇄원), ❻청암정(봉화), ❼천일각(강진), ❽초간정(예천), ❾세연정(보길도), ❿의상대(낙산사), ⓫거연정(함양), ⓬경정(영양 서석지)

 

<강진 천일각 : 강진만을 내려다보는 담백하고 소박한 맛의 정자다... 내가 가본 곳 중 가장 평화로운 풍광을 감상할 수 있는...>

 

 

 

* 그리고 누각에서는 궁궐과 관아, 가람건축의 누각을 제외하였고, 조선시대 향촌사회의 중심적 역할을 했던 향교와 서원의 누각은 대표적인 누각들과 비슷한 기능과 용도로 사용했으나, 중복이어서 제외했다...

❶안동 병산서원 만대루, ❷군위 의흥향교 광풍루, ❸김제향교 만화루, ❹남원향교 진감루, ❺의성향교 광풍루, ❻전주향교 만화루, ❼함양 남계서원 풍영루, ❽기장향교 풍화루, ❾동래향교 반화루, ❿거창 구연서원 관수루, ⓫안성향교 풍화루, ⓬경주 옥산서원 무변루, ⓭합천향교 영귀루, ⓮장성 필암서원 확연루, ⓯김해향교 풍화루

 

<합천향교 영귀루 : 간결하고 담백한 맛을 갖춘... 다른 향교와 서원의 누각들은 다음에 소개할 기회가 있을 거 같아 뒤로 미룬다...>

 

 

 

  * 참고로 광한루는 광한루원으로 접근하는 게 맞을 거 같다. 정원, 원림, 누각, 정자의 특성을 모두 포괄하고 있어 특정 범주로 구분하기 어렵지만, 자연경관을 배경이나 차경으로 끌어들이지 않은 인위적 경관조경으로 우리나라의 유일한 사례가 아닐까 싶다. 광한루원에는 광한루를 중심으로 조성된 연지와 오작교에 완월루, 방장정, 영주각 등이 있다.

 

<남원 광한루 : 풍류와 위락을 생각한다면 단연 최고의 누각/누정 건축물이다...>

 

<남원 광한루원에는 연지를 따라 완월루 등 다양한 형태의 누정이 있다...>

 

 

 

* 궁(宮), 전(殿), 당(堂), 각(閣), 청(廳), 헌(軒), 누(樓), 정(亭), 대(臺), 재(齋) 용어 정리.

 

① 궁 : 왕의 거처와 관청으로 이루어진 100칸 이상 대규모 건축물

경복궁, 창덕궁, 창경궁, 경희궁, 덕수궁, 평양 안학궁(고구려), 개성 만월대

 

② 전 : 격이 가장 높은 건물 :

근정전, 대웅전(절), 대성전(서원), 인정전, 명정전, 숭정전, 중화전

 

③ 당 : 방과 대청이 어우러진 주거형식 건물 :

금당, 명륜당, 조사당, 전교당, 연경당, 무첨당

 

④ 각 : 석축이나 단상 위에 높게 세우거나 비⦁영정을 보호하는 건물 :

보신각, 동십자각, 산신각, 범종각, 비각, 천일각(강진), 광풍각(소쇄원)

 

<경복궁 동십자각 : 1880... 한때 대통령을 각하라 부르던 시절이 있었다. 전하보다 낮은 서열... 일제강점기의 잔재였다... 연개소문이 합하로 불렸을 때는 00전 밑에 00합이라 건물이 있었겠지...>

 

 

⑤ 청 : 큰마루가 있는 건물 : 관청, 정청, 작청, 향청, 대청, 시청, 포도청

 

⑥ 헌 : 창과 처마와 마루를 갖춘 건물 : 오죽헌, 동헌, 매죽헌

 

⑦ 누 : 기둥을 세워 바닥을 높인 2층 형태(각위에 누 = 누각) :

경회루, 안양루, 풍화루, 만대루, 범종루

 

⑧ 정 : 심신수양을 위해 잠시 머무는 규모가 작은 단층 :

부용정, 피향정(정읍), 향원정, 석파정, 세검정, 팔각정

 

<정읍 피향정 : 1719년 중수, 보물 289: 누각에 가까운 정자...>

 

<창덕궁 부용정 : 누각에는 문이 달리지 않는다...>

 

 

⑨ 대 : 높은 지대에 흙이나 돌을 쌓아 사방을 조망할 수 있게 만든 :

경포대, 모란대, 의상대(낙산사), 수어장대, 학사대

 

<양양 낙산사 의상대 : 동해바다를 느낄 수 있는 큰 마음...>

 

 

⑩ 재 : 다용도 공간, 교육공간 또는 기숙사, 제사관련 : 낙선재, 동재, 학고재, 학구재

⑪ 묘(廟), ⑫ 사(祠), ⑬ 정사(精舍), ⑭ 사(榭)는 사전적 의미와 크게 다르지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