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우리나라 역사문화유산 - 한국적인 건축 공간과 공예

∐. 序 1. 한국적인 3) 우리나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 序   1. 한국적인

 

    3) 우리나라 유네스코 세계기록유산 (Memory of the World Programme/Program)

 

  * 유네스코는 1992년 ‘세계의 기억’이라는 이름으로 세계기록유산의 중요성 인식과 체계적 보존 및 접근성 향상을 위한 사업을 시작, 서적, 석판, 그림, 지도 등 아날로그 형태 기록물과 오디오, 비디오 등 디지털 형태에 이르기까지 종류를 불문하고 인류 모두의 소중한 기억이 미래세대에 잘 전수될 수 있도록 최적의 기술을 동원하여 보존하고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 2019년 현재 124개국 8개 기구에서 총 432건의 세계기록유산을 등재해왔으며, 한국은 총 16건을 보유. 국가별로 중국(29), 일본(21), 프랑스(13), 스페인(13), 터키(12), 벨기에(11), 인도(11), 콜롬비아(10) 등이다.

 

  * 등재년도와 소장처를 메모했다.

 

① 훈민정음(해례본) (1997년, 간송미술관),

② 조선왕조실록 (1997년, 정족산본, 오대산본, 태백산본, 서울대 등),

③ 승정원일기 (2001년, 서울대),

④ 불조직지심체요절 하권 (2001년, 프랑스 국립도서관),

⑤ 조선왕조 의궤 (2007년, 규장각, 장서각),

⑥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2007년, 해인사),

⑦ 동의보감 (2009년, 국립중앙도서관 등),

⑧ 일성록 (2011년, 서울대),

⑨ 5.18 광주 민주화운동 기록물 (2011년, 국가기록원 등),

⑩ 난중일기 : 이순신 장군의 진중일기 (2013년, 현충사),

⑪ 새마을운동 기록물 (2013년, 국가기록원 등),

⑫ 한국의 유교책판 (2015년, 한국국학진흥원),

⑬ 이산가족을 찾습니다 (2015년, KBS),

⑭ 조선왕실 어보와 어책 (2017년, 국립고궁박물관),

⑮ 조선통신사에 관한 기록 - 17세기~19세기 한일 간 평화구축과 문화교류의 역사 (2017년, 서울대 등),

⑯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2017년, 한국금융사박물관 등)

 

등재기준 : 세계적 가치
(ⅰ) 변화의 시기를 반영하는 시간성 (Time) :
      역사적 중요시기를 이해하는데 중요하거나 그 시기를 특별한 방법으로 반영하는 자료

(ⅱ) 역사발전에 기여한 장소나 지역관련 정보 (Place) :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 발전에 기여한 지역에 대한 정보를 지닌 자료

(ⅲ) 역사에 기여한 개인의 업적 (People) :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에 기여한 인물에 관련된 자료

(ⅳ) 세계사의 주요 주제 (Subject/Theme) :
      세계사 또는 세계문화의 주요사항을 기록한 자료

(ⅴ) 형태나 스타일에 있어 표본 (Form and Style) :
      뛰어난 미적 양식을 보여주는 자료

(ⅵ) 사회적, 정신적, 문화적 중요성 (Social/Spiritual/Community Significance) :
      뛰어난 사회적·문화적 또는 정신적 가치를 가지는 자료



그 외의 기준에는 신빙성, 유일성과 영향력 등이 있다.
(ⅶ) 신빙성은 유물이 진품이며, 그 실체와 근원지가 정확한 자료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ⅷ) 유일성과 영향력은 등재될 유산이 유일하며 대체 불가능해야 하며 유물의 손실 또는 훼손이 인류 유산에 막대한 손실을 초래하고, 일정기간 동안 세계의 특정 문화권에서 역사적 의미를 가진 자료여야 한다는 것이다.

(ⅸ) 추가기준으로는 완성도 또는 완전성에 있어 탁월한 자료, 독특하거나 희귀한 자료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