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Ⅲ. 부록 – 몇가지 메모
▣ 작고 낮은 배례석을 위한 메모 - 문양(안상/연화문)을 중심으로...
∐. 序 3. 건축공간과 공예 4) 길목에서 놓치기 싫은 공간과 건축과 공예 (2) 부족함도 없고, 넘침도 없이... ② 논산 관촉사 석조미륵보살입상에 대해 정리하다가... ○ 배례석을 대표할 수 있는 논산 관촉사 오층석탑 앞 배례석을 생각하며 메모한다. 배례석에 대해, 명칭, 문양, 시원과 현황, 그리고 의미까지... ○ 배례석은 생각보다 많지 않다. ①석탑과 석등 등을 장엄하기 위한 한정적-보조적 역할로 인식한 태생적 한계로 법식화된 지침이 없고, ②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훼손되고, ③위치이동이 어렵지 않은 작은 크기로 손망실이 가속화됐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 현존하는 것을 기준으로, 740~1020년대 통일신라 전성기부터 고려초까지 300여년 유행했다. 호족에 이어 문벌귀족이 득세하면서부터 사라지기 시작하여 려말선초에 간헐적으로 등장하지만 이후 맥이 끊겼다. ○ 현재도 만들어지고 있겠지만, 역사와 품격을 담지 않은 형식-표식일 뿐 더 이상의 깊이는 없어 안타깝다. ○ 현재 남아있는 배례석은 60~70개라 하는데, 내가 본 걸 기준으로 석탑(30~31개), 석등(13~14개), 금당(7개), 승탑(1~3개), 석불(2개) 앞과 박물관 등에 배치되어 있다. ○ 온전한 형태로 남은 최초의 사례는 740년대 불국사 석등(대웅전, 극락전) 앞이고, 마지막 사례는 1460년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앞 배례석이다. 다만 배례석의 위치와 명칭, 그리고 의의를 전제로 시원을 생각할 때, 601~711년대 일본 나라현 호류지 오중탑(법륭사 오층목탑) 앞 배례석(자연석)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 배례석 – 이 명칭은 조선불교와 근현대를 거치며 고착돼, 배타적이지 않고 일반적 의미여서 그대로 사용했고,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 앞의 국왕배례지석(國王拜禮之石)에서 유례한 것으로 생각된다. 때문에 봉로석, 정중석이란 표현도 있지만 당초의 명칭과 용도는 아니었다는 게 내 생각이다. ○ 이를 종합해 배례석의 탄생을 추적하면, ①약식화된 제단, ②600년대 전반까지 이어진 수호석의 변형, ③석가모니 사후 5~600년 지속된 인도 무불상시대 불족적의 재해석 또는 이들의 혼용이 아닐까 생각한다. ○ 우리나라 배례석 역사를 생각하면 대표적으로 다섯 개를 꼽을 수 있을 거 같다. 경주 불국사 정착 – 대구 부인사, 포항 법광사지(삼척 흥전리사지) - 논산 관촉사의 변화 - 마지막 남양주 수종사 배례석에서 종결이 그것이다. ○ 배례석은 높이와 넓이 등 크기가 다양하며, 주요 문양은 윗면의 연화문과 단부측면의 안상이다. ○ 부연이지만, 배례석의 주요 문양인 연화문과 안상에 대해 조금 더 생각해봤다. 연화문은 연꽃 외에도 차크라(바퀴)와 연결하고, 안상은 실천행이라 의미와 연결하고... ○ 아울러 사자상과 코끼리, 그리고 연화문 등이 사용된 여러 기물들을 모아봤다. ○ 배례석의 문양을 생각할수록 인도불교 초창기 – 무불상시대의 불족적이 배례석에 깊이 연관됐을 것이라는 추측이 강해진다. 무불상시대를 상징하는 아소카의 기둥과 불족적의 상징 및 문양들이 배례석에서도 연속되기 때문이다. ○ 배례석의 시작이 무엇이었든, 이를 현대에 이르기까지 가능케 한 것은 통일신라, 김대성과 경덕왕의 덕이 아닐까 생각된다. ○ 불국사와 석굴암이 만들어지던 시기, 통일신라는 다불전시대를 열었다. 중심을 잃지 않으면서도 외부 문화를 수용하면서 새로운 도전에 머뭇거림이 없는 자신감, 동서고금의 다양성을 수용하여 조화와 융합을 통해 통일성을 관철할 수 있는 안목, 현재를 집대성하면서 미래의 가능성까지 활짝 열 수 있는 유연한 역동성까지... 불국사와 석굴암은 정신적 영역과 공예적 기능을 완성된 공간으로 구현한 위대한 흔적이다. |
주요 배례석
경주 불국사 대웅전, 극락전 석등 | 741년 | - 안상 2+1 |
통일신라 | |
구례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 | 국보 35호 | 780년경 | 안상내 불상 3+2 |
통일신라 |
대구 부인사 석등 | 800년경 | 연화문 1 앙련(연판문) |
통일신라 | |
인제 한계사지 남삼층석탑 | 보물1275호 | 810년경 | 연화문 4 안상 2+1 |
통일신라 |
포항 법광사지 | 828년 | 연화문 1 안상 3+2 |
통일신라 | |
경주 읍성 석등 | 828년경 | 연화문 1 안상 3+2 |
통일신라 | |
구례 화엄사 서오층석탑 | 보물 133호 | 830년경 | 연화문 3 안상 2+1 |
통일신라 |
합천 해인사 삼층석탑 | 840년경 | 연화문 1 안상 3+2 |
통일신라 | |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 | 850년경 | 연화문 1 안상 3+ |
통일신라 | |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앞 석등 | 국보 17호 | 850년경 | 연화문 1 안상 4 |
통일신라 |
영주 비로사 | 860년경 | 연화문 1 안상 2+1 |
통일신라 | |
삼척 흥전리사지 | 연화문 1 안상 3+2 |
통일신라 | ||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 | 보물 518호 | 900년경 | 연화문 1 안상 2+1 |
통일신라 |
원주 흥법사 진공대사탑 석관 | 보물 365호 | 940년경 | - 안상 2+1 |
고려 |
세종 비암사 삼층석탑 | 940년경 | 고려 | ||
논산 관촉사 오층석탑 | 968년 | 연화문 3 줄기문양 |
고려 | |
개성 헌화사 석등 | 1020년 | 연화문 1 안상 2+1 |
고려 | |
황해해주 북숭산 신광사 | 연화문 2 운기문양 |
고려 | ||
양산 통도사 삼층석탑 국왕배례지석 |
보물1471호 |
(840년경) 1085년 |
연꽃잎 16 | 고려 |
충주 청룡사지 보각국사탑, 사자석등 | 국보 197호 보물 656호 |
1394년 | - | 조선 |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 1460년 | - 당초문 |
조선 | |
창녕향교 | 배례석 1,2,3 (연화문+안상), 그 외 1~2 | 통일신라 고려 |
배례석 현황
○ 현재 남아있는 배례석은 70개 전후라 하는데, 내가 답사여행 중 친견한 배례석은 대략 55개 전후다. 내가 본 걸 기준으로 석탑(30~31개), 석등(13~14개) 앞에 집중되어 있고, 금당(7개), 승탑(1~3개), 석불(2개) 앞과 박물관 등에 배치되어 있다.
○ 개인적 추정이지만, 이런 양식은 740년대 통일신라시대 불국사 석등 앞에 본격적으로 배치되기 시작해 1460년 남양주 수종사 팔각오층석탑 앞에 조성된 조선시대 배례석을 끝으로 스스로의 위상을 잃어버렸다고 생각된다.
○ 앞서 소개한 주요 배례석을 제외하고 몇 개를 더 골라보면 ;
○ 석탑 앞 배례석으로는 양양 선림원지 삼층석탑(보물 444호/800년경), 양양 진전사지 삼층석탑(국보 122호/820년경), 의성 관덕리 삼층석탑(보물 188호/840년경), 영덕 유금사 삼층석탑(보물 674호/880년경), 예천 간방리 삼층석탑(880년경), 울진 불영사 삼층석탑(900년경), 거창 소야탑골 삼층석탑(930년경), 창원 성주사 삼층석탑(950년경), 영암 도갑사 오층석탑(보물 1443호/970년경), 강릉 등명사지 오층석탑(1000년경), 정선 정암사 수마노탑(국보 332호), 홍천 괘석리 사사자삼층석탑(보물 540호/9880년경) 등이 있다.
○ 석등 앞 배례석으로는 구례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앞 석등과 구층암 석등(900년경), 경주 박물관 석등 등이 있다.
○ 석탑, 석등과 함께 있는 배례석의 위치는 다양하다. 이런 경우를 모아보면 대구 부인사 석등과 동서삼층석탑(800년경)을 비롯해 경산 불굴사 석등과 삼층석탑(보물 429호/840년경), 합천 해인사 삼층석탑(840년경)과 석등, 합천 해인사 원당암 다층석탑(보물 518호/900년경)과 석등, 합천 청량사 석등(보물253호/921년경)과 삼층석탑(보물266호/800년경) 등이 있다.
○ 금당 앞 배례석은 혼용이 있을 수 있지만, 인제 한계사지(남삼층석탑), 김천 직지사 대웅전 앞 공간(대웅전/보물 1576호/1649년, 석등, 동서삼층석탑/보물 606호/830년경)에 2개, 대구 동화사 극락전(보물 2132호/1622년, 금당 좌우로 동서삼층석탑/보물 248호/832~863년이 있다)과 대웅전(보물 1563호/1727년, 대웅전과 영산전 사이에 삼층석탑/832년경이 있다), 구례 화엄사 각황전(국보 67호/1700년)과 석등(국보 12호/930년경) 사이, 강진 무위사 극락보전(국보 13호, 1430년), 영천 은해사 백흥암 극락전(보물 790호/1643년) 등을 찾을 수 있다.
○ 승탑 앞 배례석으로 충주 청룡사지 외에 의정부 망월사 혜거국사부도와 보은 법주사 세존사리탑(1362년) 등이 있지만, 정확히 배례석인지 그리고 제 짝인지는 모르겠다.
○ 석불 앞 배례석으로 당진 안국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보물 100호/1070년경)과 논산 덕평리 석조여래입상이 있지만, 제 짝인지 모르겠다.
- 참고로 최근에 배례석이 추가된 경우로는 대구 동화사 대웅전 옆 삼층석탑(832년경), 경주 마석산 삼층석탑(850년경), 군위 인각사 삼층석탑과 석등(840년경) 등이 있고, 기타 강진 금곡사 삼층석탑(보물 829호/930년경), 상주 심원사 삼층석탑 등도 있다.
○ 드물지만 원주 흥법사 진공대사탑(보물 365호, 940년경)에는 석관이 놓여있고, 제 짝일지 모르겠지만 음성 모전 오층석탑(950년경) 앞에는 석관과 유사하지만 비석받침으로 보이는 석물이 놓인 경우가 있다.
○ 그리고 배례석의 위치와 관련해 배례석의 격식을 갖춘 문양없이 사방을 점한 경우도 있는데, 상주 북장사 삼층석탑, 대구 동화사 금당앞 동삼층석탑(서탑과 지대석 주변 판석의 구성이 완전히 다르다), 구례 화엄사 각황전앞 석등 배례석이다.
○ 제 위치와 무관하게 방치(? 그런 경우가 너무 많지만...)된 배례석으로는, 성주 법수사지 (삼층석탑/보물 1656호/800년경, 당간지주 옆 당산나무 뿌리와 함께...)와 청도 장연사지(동서삼층석탑/보물 677호/840년경, 은행나무 옆 비석처럼 세워서...)가 있다.
'우리나라 역사문화유산 - 한국적인 건축 공간과 공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Ⅲ. 부록 – 몇가지 메모 ▣ 작고 낮은 배례석을 위한 메모... 3 (1) | 2023.10.22 |
---|---|
Ⅲ. 부록 – 몇가지 메모 ▣ 작고 낮은 배례석을 위한 메모 2 (0) | 2023.09.26 |
𝐈. 論 2. 문명과 문화 5) 있고-없고 ; 철학적 인간 : 사회적 인간과 인간의 주체성 (0) | 2023.09.02 |
𝐈. 論 2. 문명과 문화 4)종교적 인간 : 왕과 신, 국가와 종교 (2) | 2023.08.27 |
𝐈. 論 2. 인류가 만든 문명과 문화 1)정치적, 2)경제적, 3)상업적 인간 (2) | 2023.08.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