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 700년대 전성기 통일신라의 석탑들...
1) 통일신라 석탑 조성 순서를 판단하는 기준
우리는 지금까지 백제의 석탑에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효시가 되는 고선사탑과 감은사탑까지 살펴봤다. 그렇게보면 우리나라 석탑역사는 정림사 오층석탑(570년 전후) → 분황사 모전석탑(632년) → 미륵사 서석탑(639년) → 왕궁리 오층석탑(639~655년) → 탑리리 오층석탑(668~677년 전후) → 고선사/감은사 삼층석탑(682년)이 되나? 물론 앞서 이미 밝혔지만 고선사/감은사탑이 만들어진 다음부터 삼층석탑이 곧바로 정착된 것은 아니었다. 즉 통일신라시대의 석탑은 백제석탑에서 출발했던 만큼 백제석공들이 선호하는 미감이 전승되고, 경험이 관성처럼 작용하면서 탑리리탑 이후에도 최소 2기의 다층석탑이 더 만들어지는데 그것이 나원리와 장항리 오층석탑이다(800년 전후까지 생각하면 충주 탑평리 칠층탑과 의성 빙산사지, 선산 죽장동, 광주 지산동 오층탑이 있다). 이와 동시에 고선사/감은사탑의 양식과 구조를 평가 계승하면서 황복사와 천군리탑을 만드는데, 이때부터 통일신라시대의 삼층석탑은 정형화 된다고 볼 수 있다.
그러면 감은사탑 이후 어떤 순서로 석탑은 만들어지게 되었을까? 지금까지 내가 말했던 석탑의 선후를 판단하는 기준을 정리해보면 ①구조와 결구 및 부재의 정돈 등 ②기단부 높이와 넓이의 비례 ③일층몸돌 높이와 넓이의 비례 ④기단부와 일층몸돌의 높이 및 넓이 비례 ⑤노반을 포함한 상륜부 양식 ⑥사리공 및 사리구 ⑦가람배치와 기록 및 설화를 살펴보고, 여기서 부족한 내용들은 여기저기서 주워들은 풍월과 느낌으로 채우면 된다(^^). 이중 계측 가능한 부분을 정리해보면 <표1>, <표2>, <표3>과 같아지고, 이를 종합해보면 고선사/감은사 삼층석탑 → 나원리 오층석탑(682~706년 이전) → 황복사(692년)/천군리 삼층쌍탑 → 장항리 오층석탑(715년 전후) 순서가 아닐까 생각된다. 그리고 그 이후에는 석가탑 조성시기를 전후하여 우리들이 익히 알고 있는 삼층석탑들이 본격적으로 조성되었고, 마지막 가장 난해한 문제로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과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그리고 구미(선산) 낙산동 삼층석탑과 죽장동 오층석탑,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의 조성연대가 남는다.
<표1> 주요석탑 상층기단부 중대석 및 일층몸돌의 높이와 넓이의 비례(단위:cm)
구 분
석탑이름 |
상층기단 중대석 (갑석 및 괴임돌 제외) |
1층 몸돌 (기단부위 괴임돌 제외) |
상층기단 중대석과 1층몸돌 높이 비례 |
1층몸돌과 상층기단 중대석 넓이 비례 |
조성년대 |
노반까지 석탑높이
(상륜부 포함높이) | ||||
높이 |
넓이 |
높이/ 넓이 |
높이 |
넓이 |
높이/ 넓이 |
상층기단/ 1층몸돌 |
1층몸돌/ 상층기단 | |||
왕궁리 오층탑 (국보 289호) |
67 |
420 |
0.16 |
148 |
262 |
0.57 |
0.45 |
0.62 |
640년이후 655년이전 |
8.8m (9.3m) |
탑리리 오층탑 (국보 77호) |
71 |
424 |
0.17 |
147 |
196 |
0.75 |
0.48 |
0.46 |
668년이후 677년이전 |
9.5m |
고선사 삼층탑 (국보 38호) |
119 |
484 |
0.25 |
178 |
287 |
0.62 |
0.67 |
0.59 |
682년전후 |
10.5m (10.9m) |
감은사 동탑 (국보 112호) |
130 |
474 |
0.27 |
176 |
285 |
0.62 |
0.74 |
0.60 |
682년 |
10.1m |
감은사 서탑 (국보 112호) |
120 |
467 |
0.26 |
176 |
285 |
0.61 |
0.69 |
0.61 |
10.2m (14.0m) | |
나원리 오층탑 (국보 39호) |
121 |
395 |
0.31 |
177 |
248 |
0.71 |
0.68 |
0.63 |
682년이후 706년이전 |
9.9m |
장항리 오층탑 (국보 236호) |
106 |
324 |
0.33 |
152 |
178 |
1.17 |
0.70 |
0.55 |
715년전후 |
9.0m |
황복사 삼층탑 (국보 37호) |
108 |
294 |
0.37 |
136 |
162 |
0.84 |
0.79 |
0.55 |
692년 |
7.3m |
천군리 삼층탑 (보물 168호) |
113 |
294 |
0.38 |
132 |
162 |
0.82 |
0.86 |
0.55 |
황복사탑과 비슷 |
7.3m (7.7m) |
석가탑 (국보 21호) |
104 |
290 |
0.36 |
137 |
158 |
0.87 |
0.76 |
0.55 |
741년 |
7.44m (10.76m) |
남산리 서탑 (보물 124호) |
89 |
195 |
0.46 |
99 |
110 |
0.90 |
0.90 |
0.56 |
800년전후 |
5.0m |
특 징 (시대가변하고 삼층석탑으로 전형화되면서) |
* 낮고 넓은 기단부에서 * 높고 좁은기단부로 변하고 * 갑석과 괴임을 포함하면 정사각형에 가까워짐 |
* 넓고 낮은 일층몸돌은 * 좁고 높은 몸돌로 변하고 * 정사각형에 가까워짐 |
* 상층기단부 가 높아지고 * 일층몸돌 높이와 비슷 해짐 |
* 기단부에 비해 일층 몸돌이 점 점 좁아짐 |
|
* 높이와 규모가 점점 낮고 작아짐 |
* 참고자료 :
ⓐ 경주 고선사지 가람배치와 삼층석탑 연구 / 박보경 / 동국대 석사논문 ;
나의 접근방식이나 문제의식과 비슷해서, 이 논문의 P90 <표5>와 P103 <표12>를 기본틀로 하고,
왕궁리, 탑리리, 장항리, 남산리 등을 추가 보완하면서, 다른 자료들을 참고하여 불확실한 부분은 수정했다.
ⓑ 경주 석탑 보수 정비 사업단 / 감은사 동,서탑, 석가탑, 다보탑 등 실측도면
ⓒ 익산 왕궁리오층석탑의 풍화훼손도 및 무기오염종의 정량분석과 부재의 산지해석/ 송치영 / 공주대 석사논문 ;
왕궁리탑 세부 비례를 추정하기 위해 조선고적보 실측도면 사진 등과 함께 입면도, 평면도 등을 참조했다.
ⓓ Daum 블로그 / 토함산 솔이파리 / 솔뫼 / 문화재의 세부명칭 및 도면 ;
나원리탑, 장항리탑, 석가탑 등의 도면을 참조하였는데, 부정확한 수치는 수정했다.
ⓔ 기타 실측도면에 빠진 부분은 조선고적보 및 인터넷 자료와 사진 등을 참조하여 비례치를 산정했다.
ⓕ 각 자료마다 약간씩의 오차가 있지만 위 순서로 우선순위를 두었고, 탑리리 오층탑의 높이와 폭은 추정치다.
ⓖ 색을 입힌 부분은 비슷한 규격을 표현한 것인데, 고선사탑과 감은사탑은 물론, 황복사와 천군리탑은
한사람이 만들었다는 생각이 들 정도로 똑 같은 규격과 비례를 사용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표1>을 통해 주요석탑들의 상층기단부 중대석과 일층몸돌의 넓이와 높이에 대한 비례를 통해, 시대별 변천의 전반적인 경향을 확인할 수 있고, 내가 생각하는 석탑 흐름의 경향성과 각 석탑의 특징을 파악, 비교하기 위해 <표2>와 <표3>을 만들었는데, 조금 더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각층 몸돌 넓이와 지붕돌 넓이의 비례, ⓑ각층 높이(몸돌+지붕돌)와 지붕돌 넓이의 비례, ⓒ일층몸돌 높이와 기단부 높이의 비례, ⓓ일층지붕돌 넓이와 상층기단부 넓이의 비례, ⓔ기단부 높이와 상층기단부 넓이의 비례, ⓕ최상층지붕돌 넓이와 최하층지붕돌 넓이의 비례, ⓖ최상층지붕돌 넓이와 상층기단부 넓이의 비례를 통해 체감률을 비롯, 지붕돌 처마의 깊이가 주는 미감의 변화까지 추적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표2> 주요 오층석탑 각층 넓이와 높이 비례(단위:cm)
구 분 |
왕궁리 오층석탑 |
나원리 오층석탑 |
장항리 오층석탑 |
비 고 | |||||||
넓이 |
높이 |
비례 |
넓이 |
높이 |
비례 |
넓이 |
높이 |
비례 | |||
노 반 |
102 |
17 |
0.17 |
74 |
42 |
0.57 |
59 |
21 |
0.36 |
상륜부제외 | |
5 층 |
지붕돌 |
308 |
78 |
0.25 |
213 |
77 |
0.31 |
186 |
67 |
0.36 |
|
몸 돌 |
145 |
38 |
0.26 |
122 |
29 |
0.24 |
92 |
26 |
0.28 |
| |
4 층 |
지붕돌 |
350 |
82 |
0.23 |
248 |
72 |
0.29 |
215 |
69 |
0.32 |
|
몸 돌 |
181 |
40 |
0.22 |
153 |
39 |
0.25 |
113 |
33 |
0.29 |
| |
3 층 |
지붕돌 |
375 |
83 |
0.22 |
285 |
76 |
0.27 |
229 |
73 |
0.32 |
|
몸 돌 |
205 |
42 |
0.20 |
183 |
43 |
0.23 |
129 |
40 |
0.31 |
| |
2 층 |
지붕돌 |
425 |
85 |
0.20 |
325 |
85 |
0.26 |
254 |
76 |
0.30 |
|
몸 돌 |
232 |
47 |
0.20 |
210 |
47 |
0.22 |
152 |
44 |
0.29 |
| |
1 층 |
지붕돌 |
467 |
85 |
0.18 |
362 |
91 |
0.25 |
356 |
87 |
0.24 |
|
몸 돌 |
262 |
148 |
0.56 |
248 |
177 |
0.71 |
178 |
152 |
0.85 |
| |
기단부 |
상 층 |
448 |
127 |
0.28 |
428 |
153 |
0.36 |
357 |
131 |
0.37 |
|
하 층 |
|
|
|
546 |
65 |
0.12 |
475 |
81 |
0.17 |
| |
지 대 석 |
500 |
11 |
|
575 |
|
|
498 |
|
|
| |
탑 신 높 이 |
|
728 |
|
|
736 |
|
|
667 |
|
1~5층 | |
노반까지 높이 |
|
883 |
|
|
996 |
|
|
900 |
|
상륜부제외 |
▷참고자료는 <표1>과 동일하다. 탑리리 오층석탑과 탑평리 칠층석탑 관련자료를 찾지 못했는데, 아쉽다...
이 표의 한계는, 현재 제시된 각종 자료의 실측기준이 부재의 절단면으로 나누었다고 보여지지만, 주관하는 기관이나 제작자의 의도에 따라 다를 수밖에 없다는 점이다. 그런 이유로 심각한 문제는 아니라하더라도 장항리탑의 일층괴임과 석가탑 일층지붕돌 상부의 괴임 등을 어느쪽에 포함시키느냐에 따라 편차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 제작자의 의도와 무관하게 일관성을 지키기 위해 주관적으로 수정하였고, 자료가 불충분한 부분은 사진과 스크랩 자료를 임의로 추정한 것으로 오차가 있다는 점을 전제해야 한다는 점을 아울러 밝혀둔다. 아무튼 나는 석탑의 선후를 판단하는 근거를 명확히 하기 위해 <표1>,<표2>,<표3>으로 정리했으니 참고하시기 바란다.
<표3> 주요 삼층석탑 각층 넓이와 높이 비례(단위:cm)
구 분 |
고선사 삼층석탑 |
감은사 서삼층탑 |
황복사 삼층석탑 |
석 가 탑 |
남산리 서삼층탑 | |||||||||||
넓이 |
높이 |
비례 |
넓이 |
높이 |
비례 |
넓이 |
높이 |
비례 |
넓이 |
높이 |
비례 |
넓이 |
높이 |
비례 | ||
노 반 |
85 |
47 |
0.55 |
83 |
45 |
0.54 |
|
|
|
65 |
43 |
0.66 |
57 |
24 |
0.42 | |
3 층 |
지붕돌 |
344 |
126 |
0.37 |
338 |
120 |
0.36 |
|
|
|
198 |
69 |
0.35 |
124 |
40 |
0.32 |
몸 돌 |
165 |
76 |
0.46 |
157 |
69 |
0.44 |
|
|
|
111 |
41 |
0.37 |
69 |
30 |
0.43 | |
2 층 |
지붕돌 |
428 |
131 |
0.31 |
403 |
129 |
0.32 |
|
|
|
232 |
80 |
0.34 |
158 |
47 |
0.30 |
몸 돌 |
226 |
80 |
0.35 |
213 |
81 |
0.38 |
|
|
|
130 |
46 |
0.35 |
89 |
35 |
0.39 | |
1 층 |
지붕돌 |
475 |
136 |
0.29 |
473 |
136 |
0.29 |
|
|
|
263 |
83 |
0.32 |
189 |
53 |
0.28 |
몸 돌 |
287 |
178 |
0.62 |
285 |
176 |
0.62 |
162 |
136 |
0.84 |
158 |
138 |
0.87 |
110 |
99 |
0.90 | |
기단부 |
상 층 |
642 |
171 |
0.27 |
495 |
164 |
0.33 |
|
|
|
320 |
144 |
0.45 |
227 |
114 |
0.50 |
하 층 |
677 |
100 |
0.15 |
673 |
97 |
0.14 |
|
|
|
439 |
101 |
0.23 |
311 |
55 |
0.18 | |
지 대 석 |
|
|
|
853 |
|
|
|
|
|
|
|
|
|
|
| |
탑 신 높 이 |
|
727 |
|
|
711 |
|
|
|
|
|
457 |
|
|
304 |
1~3층 | |
노반까지 높이 |
|
1,045 |
|
|
1,017 |
|
|
|
|
|
745 |
|
|
497 |
상륜부 제외 |
▷참고자료는 <표1>과 동일, 황복사 삼층석탑 관련자료까지만 보완되면 더 좋았을텐데... 다음에 답사여행가면 줄자라도 들고 다녀야할지 모르겠다...ㅋㅋ
'탑여행-趣,美,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라시대 삼층석탑 21> 국보37호 황복사 삼층석탑과 보물168호 천군리 삼층쌍석탑...1307 (0) | 2013.07.17 |
---|---|
신라시대 삼층석탑 20> 국보39호 나원리 오층석탑 - 정형화된 양식으로 만든 장중한 미감...1307 (0) | 2013.07.13 |
신라시대 삼층석탑 18> 3)감은사탑과 고선사탑 - 통일신라석탑의 특징과 품격...1307 (0) | 2013.07.04 |
신라시대 삼층석탑 17> 2) 감은사탑/고선사탑, 어느 탑이 먼저일까?...1307 (0) | 2013.07.04 |
신라시대 삼층석탑 16> 1)감은사탑, 고선사탑의 공통점과 차이점...1307 (0) | 2013.07.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