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短想段想...

난파되는 배와 쥐와 주인과 주인행세...1401

 

 

 

 

 

 

타이타닉 같은 영화를 보거나 세익스피어류의 소설을 읽으면서, 난파될지 모를 배에서 제일 먼저 피신하는 것은 쥐라는 말을 기억한다. 우리는 이걸 생존 본능이라고 생각하지만, 생각해보면 나이를 먹어가면서 이 현상을 받아들이는 나에게도 인식의 차이는 있었던 거 같다.

 

 

10대 때는 이 말을 들으면서, 위험을 감지하고 본능적으로 대처하는 동물과, 감지능력이 퇴화된 인간의 차이라고 생각했다.

20대 때, 위급한 상황 속에서도 자신의 안전만 우선 도모하는 약사 빠른 인간을 경멸할 때 이 말을 사용하면서 나는, 난파될 상황을 극복할 수 있다는 자만에 빠져 있던 게 아닌가 생각된다.

 

 

30대 때 이 말은, 한 공간이나 사회에 공존하는 다양한 구성원이 보내는 위험 신호나 징후를 파악할 줄 아는 사람과 그렇지 못한 사람을 가르는 기준 같은 것으로 재해석했다.

40대 때 이 말은 한동안 뇌리에서 지워져 있었다. 변화의 조짐에 민감한 대상을 읽을 수 있는 안목에 만족했고, 나는 쥐새끼(?)처럼 행동하지 않겠다는 의지에 충만했던 거 같다.

 

 

이제 한 살 더 먹어가면서 다시 자문한다. 쥐가 배를 버릴 수 있는 것은 그 배의 주인이 아니기 때문일 것이라 생각했지만, 이제 내가 그 배의 주인인가 스스로에게 물어본다. 물론 나는 충실한 주인의식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진짜 배의 주인이 따로 있을 때는 어떻게 행동해야 할까? 또 선장이 전체를 바라보지 못하고, 현재의 위난을 극복할 대안을 마련하지 못하며, 미래의 변화를 제시하지 못한체, 자기자신과 배을 동일시하면서 선택의 타이밍을 자꾸 놓치고 있을 때 말이다.  

 

 

때로는 의도하지 않는 혹은 진짜 주인의 책임방기로 원하지 않았고 우려했던 주인행세가 더 큰 혼란을 부추킬 수도 있는 거 같다. 아직 여지를 가지고 미련을 못 버리는 사람들에게 불필요한 환상을 주고, 더 깊은 수렁에 빠지는 것에 책임지지 못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난파를 지연시키는 것은 출구전략을 마련하고 피해를 최소화시키기 위함이지만, 파산할 때 파산하지 못하면 더 큰 피해를 야기할 수밖에 없고, 이건 보이지 않는 피해를 양산할 뿐이다. 쥐들이 떠난 배는 이미 생명을 다했음을 충분히 인정해야 현명한 선택이 가능한 거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