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Ⅲ. 부록 – 몇가지 메모
▣ 작고 낮은 배례석을 위한 메모 - 문양(안상/연화문)을 중심으로... 4
석탑과 배례석
○ 지금까지를 종합하면 배례석은 처음부터 금당, 불상, 승탑, 탑비를 비롯해 석탑 등을 위한 배례도구가 아니라, 석등을 위해 - 석등의 보조적 기물로 제작된 것이 아닐까 생각된다.
그리고 현재 남아있는 사례는 석등보다 석탑 앞 배례석이 훨씬 많지만, 이는 후대에 관리의 편의, 의미의 재해석을 통해 변경된 것이고,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하기 시작한 초기의 배례석은 석탑이 아닌 석등 앞에만 놓였다고 생각한다. 석탑 및 석등과 관련된 배례석의 사례를 더 살펴보면 ;
- 먼저 700년대 중반 불국사의 배례석은 석가탑과 다보탑 - 쌍탑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분명 석등 앞에 놓였다. 만약 각각을 위한 배례석이 있었다면 석가탑과 다보탑 앞에도 배례석이 있어야 하지만 (아무리 많은 이동과 변형, 재해석이 있었다고 하더라도) 석등 앞에만 배례석이 놓여 있다. 그것도 석등에 바짝 붙어서...
- 또 하나는 828년 조성명기가 확실히 남아 석탑의 편년 기준 중 하나인 포항 법광사지의 경우, 금당-석탑-석불-석등-당간지주 등의 위치를 가늠할 수 있는 가람배치가 남아있다.
여기서 석탑은 별원(700년 전후 가람배치를 보여주는 고선사, 황복사, 나원리 등은 석탑이 금당과 완전히 떨어진 곳, 금당보다 높은 곳에 조성됐다)에 존치되어 있지만, 이때 석탑 앞에 배례석은 놓이지 않았던 것으로 보인다.
불국사에서 만들어진 이후부터 법광사지까지 배례석은 석탑 앞이 아닌 다른 용도로 사용됐다는 말이다.
○ 이렇게 접근하면, 현재 석탑 앞에 배례석이 놓여 있는 양양 선림원지와 진전사지, 의성 관덕리, 영덕 유금사, 예천 간방리, 울진 불영사, 화엄사 서오층석탑, 거창 소야탑골 등의 석탑 앞 배례석은 유물의 수습과정에서 관리의 편의를 위해 모아 놓은 것일 수 있다고 생각된다.
그리고 상주 북장사, 경주 마석산, 강진 금곡사 삼층석탑 배례석은 후대에 약식으로 추가한 것들이고. 다만 통일신라말 고려시대에 들면서 배례석의 이해가 달라졌다면 홍천 괘석리, 강릉 등명사지, 정선 정암사 탑 앞의 배례석은 또 다른 해석이 필요할 수도 있다.
- 그 외 석탑과 석등이 함께 있어 후대에 석탑 앞으로 배례석을 옮겼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있는데, 경산 불굴사, 합천 해인사, 군위 인각사, 합천 해인사 원당암, 창원 성주사, 논산 관촉사 등이 이에 해당한다.
- 다만 석탑을 위해 만든 배례석의 사례가 있는데, 이 경우 배례석은 석등 앞 배례석과 형태가 완전히 다르다. 제짝으로 보이는 것 중,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만 석등용 배례석과 비슷한 양식을 갖추고 있을 뿐, 봉암사 삼층석탑, 동화사 금당앞 동삼층석탑은 기단부 지대석의 변형이고, 비암사와 통도사 삼층석탑은 석탑을 위한 배례석으로 본래의 흐름이나 양식이 다르다.
결론적으로 석탑 앞에 놓인 배례석과 석등 앞에 놓이던 일반 배례석은 결이 다르다는 말이다.
석등과 배례석
○ 배례석을 조금 더 깊이 있게 접근하다 보면 석등에 대해 논하지 않을 수 없다. 먼저 석탑과 석등의 관계... 석탑 앞에는 항상 석등이 있어야 하는 것일까? 사실 대부분 석탑이 있는 폐사지에는 석등부재가 함께 남은 경우가 많다. 경주 미탄사지,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을 비롯해 청도 봉기동 삼층석탑, 성주 법수자시 삼층석탑 등 대부분 폐사지 석탑 앞에는 연화석이 놓여있고, 합천 청량사, 남원 용담사 등의 1등 + 1탑 + 1불의 흔적에 익숙하기 때문에 석탑 앞에는 당연히 석등이 있었을 것이라 추정하곤 한다.
- 그러나 600년대 백제의 사찰에서도 부여 가탑리, 익산 제석사지, 익산 미륵사지(중금당과 동원 등 3곳)에서만 석등 부재가 발굴되었고, 700년대 초반까지 신라의 의성 탑리나 통일신라의 경주 감은사지, 황복사지, 나원리, 장항리사지 등은 석등이 있었는지, 또 석등 위치는 어디였는지 확실하지 않다(경주 분황사와 고선사지 석등 하대석은 8세기 이후가 분명하고).
즉 한반도에서 가장 먼저 계율종을 확립하고 가람배치의 원형을 만들면서 석조예술의 꽃을 먼저 피운 백제에서도 석등이 시도된 것은 600년대 전후 몇 곳에 불과하고, 통일신라시대인 700년대 초반까지 한반도의 사찰에 석등은 아직 보편적으로 보급되기 전이었다고 보는 게 맞을 수 있다.
- 불교교리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지고, 사찰-가람의 장엄에 대한 필요가 절실했겠지만, 야외에 불을 피우고 관리하는 것은 그만한 인력동원과 관리시스템이 수반되어야 한다. 관솔대가 아닌 이상 장작이 아닌 호롱불을 사용했겠지만, 바람만 불어도 불이 꺼질테고, 아차하는 순간 목조건축물인 금당에 불이 옮겨붙거나, 산불이 날 수 있으니까...
결국 그만한 규모와 인력 및 통제시스템을 갖춘 곳에서만 석등을 배치-유지할 수 있었고, 사찰별로 석등의 개수도 한계가 있었을 것이다. 필요에 따라서는 사찰과 석탑, 석불 등을 존숭하기 위한 예식의 도구이면서, 일몰 이후부터 새벽까지 실생활에 사용할 등(燈)의 기능을 위해 만들어졌을 석등이었기 때문에 그 위치도 한정적이었을 것이다.
○ 그러면 석등이 자리 잡은 위치는 어디였을까? 먼저 600년대 가람배치의 완성태인 백제의 익산 미륵사지, 신라의 경주 분황사지, 일본의 나라 법륭사지에서는 사찰 – 가람배치의 중심에 석등이 놓였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당대 사찰 – 가람배치의 중심에는 석탑 또는 금당 등이 배치되기 때문에 당연히 그곳에 석등이 함께 조성되었을 것이고.
그렇다면 석등은 석탑을 존숭하기 위한 용도로 배치된 것이 아니라 가람배치의 상징적 중심지에 있었다는 말이 더 합리적일 것이다. 이유? 전기가 없던 그 시대, 실내의 촛불이나 들고다니는 호롱불(청사초롱 등) 외에 실외에 불을 켜 놓을 수 있는 도구는 석등 밖에 없기 때문이고, 이는 조명의 밝기-조도보다 등대 같은 구심점 역할이 더 컸을 수도 있다.
- 조금 더 나아가, 석등이 항상 석탑과 패키지로 조성된 것은 아니라 것을 확인할 수 있는 곳이 보은 법주사다. 법주사에는 팔상전 동측에 1기, 대웅보전 앞에 1기(사천왕석등), 약사전 앞에 1기, 그리고 원통보전-약사전-팔상전의 삼각형 중심에 1기(쌍사자석등)이 배치되어 있다. 또한 대부분 석등이 임진왜란 이후 근현대에 조성된 것으로 보이는 양산 통도사(석등이 가장 많이 남은 곳이다)의 경우, 대부분 대웅전, 개산조당, 관음전, 영산전 등 불전(금당-불당)을 중심으로 조성되어 후대에는 훨씬 실용적으로 배치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즉 석등은 석탑 및 불탑의 배례를 위한 종속도구가 아니었다. 초기에는 금당과 탑(목탑-석탑) 사이에 배치되다가, 점차 석탑이나 불상 앞에, 때로는 불전 앞에, 때로는 가람배치의 중심이나 주요 동선에 조성되었고, 후대의 서원 등에서 사용한 관솔대(정료대-노반석주)와 함께 사찰의 요소요소에 배치돼 불을 밝혔던 용도로도 사용했다.
이런 이유로 보은 법주사를 비롯해 양산 통도사와 경주 황룡사지, 칠곡 송림사, 충주 미륵대원지 등 하나의 사찰에서 몇 개의 석등 부재들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고, 하동 쌍계사처럼 석탑과 무관한 석등 부재가 있었다는 말은, 결국 1사찰 + 1석등 또는 1탑 + 1석등이란 기준은 애초 없었다는 말이 된다.
- 다만 사찰의 중심공간을 벗어나 별원처럼 꾸며지거나 독립된 공간의 석탑과 석불 앞에는 자체의 완결된 격식을 위해 석등이 조성된 사례들을 확인할 수 있다. 구례 화엄사 사사자석탑을 비롯해, 경산 선본사 삼층석탑, 영주 부석사 삼층석탑, 창녕 관룡사 용선대 석조여래좌상 등이 그곳이다. 이곳의 석등들은 분명 공간장엄을 위한 상징적 의미가 우선이었을 것이다.
○ 결국 600~700년대까지, 불상을 비롯해 석탑, 승탑, 탑비, 석등, 배례석 등은 각자의 필요와 위상을 가지고 각자의 위치에 조성됐지만, 석등과 배례석 등 장엄을 위한 기능-용도를 가진 기물들은 존숭예배의 대상 앞에 무조건적으로 만들어지지 않았다.
또 여기에서 중요한 점은, 석등은 석탑이나 불상, 승탑처럼 배례의 대상이 아니라는 점이다. 즉 배례의 대상이 아닌 기능의 문제... 결론적으로 김대성이 불국사에서 만든 것은 배례(拜禮)을 위한 단(段)이 아니었다는 말이다.
'우리나라 역사문화유산 - 한국적인 건축 공간과 공예' 카테고리의 다른 글
Ⅲ. 부록 ▣ 작고 낮은 배례석을 위한 메모... 6 배례석의 용도와 보편화 (1) | 2023.10.31 |
---|---|
Ⅲ. 부록 – 몇가지 메모 ▣ 배례석... 5, 불교와 등, 석등 (0) | 2023.10.29 |
Ⅲ. 부록 – 몇가지 메모 ▣ 작고 낮은 배례석을 위한 메모... 3 (1) | 2023.10.22 |
Ⅲ. 부록 – 몇가지 메모 ▣ 작고 낮은 배례석을 위한 메모 2 (0) | 2023.09.26 |
Ⅲ. 부록 – 몇가지 메모 ▣ 작고 낮은 배례석을 위한 메모 1 (0) | 2023.09.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