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序 1. 한국적인 7) 홍예교 - 아치
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 序 1. 한국적인 7) 홍예교 - 아치 ; 구조가 의장이 되는 인간이 만든 가장 자연스러운 선 * 직선은 인간의 것이고 곡선은 신의 것(가우디)이 맞다면, 아치는 인간이 만든 신의 선이다. * 아치 구조물은 건축을 비롯해 다리, 수로교 등에 사용된 석조구조물이다. 그 중 내가 관심을 갖는 분야는 다리고, 다리는 하천이나 강, 계곡을 건너는 교통수단이다. 즉 길의 하나이며, 길은 사람이든, 우마든, 군대가 지나가든 소통의 통로다. 일상적인 통행을 보장하는 영구적인. * 그런 이유로 다리는 오늘날로 사회간접자본에 해당하는데, 과거 우리의 사회간접자본은 정말 빈약하다. 그 규모도 작다. 몬순기후와 지리적 특성도 있겠지만, 실용성을 잃어버린 관념에 의존한 시스템,..
∐. 序 1. 한국적인 6) 문
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 序 1. 한국적인 6) 문 : 벽의 숨통, 인간이 만든 경계를 넘나드는 소통의 관문, 위계와 품계의 차이를 넘나드는 통과의례. * 경계(境界)가 있으면 벽이 있고, 벽이 있으면 문과 창이 있다. 문은 경계의 관문이다. * 문은 크게 두 가지다. 벽을 뚫은 문과 길을 막은 문(개선문, 일주문 등)이 그것이다. * 벽을 넘으면 도둑과 강도가 되고, 문고리를 잡고 문을 열면 손님이 된다. * 문고리에 장식이 생기고, 문을 열고 닫는 행위에서는 의례(품계와 격식)가 만들어진다. * 우리나라의 문은 성문, 관문, 일주문(一柱門, 기둥이 하나가 아닌데 일주문이다), 누하문(사찰, 서원, 향교 등), 회전문(廻轉門에는 문이 없다), 대문채, 삼문 등이 다양하게 있으나 ..
∐ . 序 1. 한국적인 5) 무덤, 능, 묘
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 序 1. 한국적인 5) 무덤, 능, 묘 : 존재에 대한 기억과 볼 수 없는 세상과의 소통 ; 인간이 만든 최초의 문화, 최후의 문화 * 인간의 공간이면서 인간이 아닌 자의 공간으로, 산자들이 만든 죽음의 공간이다. * 육체의 공간이면서 정신의 공간이며, 이승의 영역이면서 눈으로 볼 수 없는 저승의 영역. * 본능에서 탈각한 인류가 시간의 영속성과 세계관을 갖추고, 공공적 목적으로 집단적으로 만든 인류 최초의 건축은 죽음의 공간이다 ; 고인돌, 피라미드, 병마총, 적석총, 전방후원분 등 * 집중된 권력이 사회구성원 모두의 자본과 지혜를 담아, 산자들의 거주공간보다 더 크고 높게 만든, 멈춰 상실된 생명에 영원한 시간을 부여하는, 그 시대 그 사회의 기념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