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탑여행-趣,美,香...

(141)
신라시대 삼층석탑 68> 국보130호 - 이형석탑의 대미 선산 죽장동 오층석탑...1312 3) 선산 죽장동 오층석탑 - 기념비적 이형석탑의 대미와 전성기 석탑양식의 해체 김헌창의 난 진압 이후 흥덕왕은 의성 빙산사지탑 외에 또 하나의 기념비적 스케일을 가진 석탑을 조성하니 그것이 선산 죽장동 오층석탑이다. 이런 분명한 시대배경과 건탑의 목적에도 불구하고, 양식적..
신라시대 삼층석탑 67> 보물327호 -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1312 2) 의성 빙산사지 오층석탑 - 탑리리 오층석탑을 계승한 기념비적 이형석탑 그럼 이제 석탑의 편년으로 들어가 본다. 먼저 빙산사지 오층석탑에 대해 살펴보면, 이 탑은 누가봐도 탑리리탑을 모본으로 한 모방/계승 양식이다. 단층기단에 오층탑신으로 이루어져 있고, 낙수면도 층단식으..
신라시대 삼층석탑 66> 김헌창의 난과 통일신라 전제정치의 몰락...1312 16. 820년대 이후 통일신라 석탑의 변화 1) 822년 김헌창의 난과 흥덕왕, 그리고 선산과 의성...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이 완성된지 얼마되지 않아 통일신라는 중대한 변화에 직면하게 된다. 소위 김헌창의 난이 그것이다. 태종무열왕계인 아버지 김주원이 왕위를 원성왕에게 빼앗기고 자천..
우리나라 사찰 가람배치 4> 조선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1312 9) 통일신라시대 창건됐으나 고려시대 중창을 거쳐, 조선시대 가람배치가 우세한 사찰 <표21> ①장곡사 청양 칠갑산, 850년 보조선사 체징, 석조대좌, 산지중정형 우각진입 1777년 중수된 상대웅전(1350년경)/하대웅전(1450년경) 2원 확장체제, ②대흥사 해남 두륜산, 대웅전(1665년)과 응진..
우리나라 사찰 가람배치 3> 고려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1312 6) 통일신라시대 창건됐으나, 고려시대 가람배치를 유지하고 있는 사찰 <표18> ①통도사 양산 영축산, 3보사찰 중 법보사찰, 646년 자장 창건, 방등계단, 금강계단과 대웅전(1644년)(상로전) -세존비각과 개산조당- 대광명전과 관음전(중로전) -불이문- 영산전/약사전/극락보전(하로전) 3원..
우리나라 사찰 가람배치 2> 통일신라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1312 4) 통일신라시대 주요사찰과 통일신라 가람배치의 특징 (670~780년) <표16> 특 징 2탑1금당, 다탑구조 → 다불전 구조, 목탑 → 석탑(탑리리탑) 평지형 → 산지중정형가람 → 교통 요지 및 군사적 목적의 산지구릉형/중정형 밀교와 비보풍수, 왕실의 원찰 ①사천왕사지 경주 낭산, 밀교의 ..
우리나라 사찰 가람배치 1> 삼국시대 주요사찰과 가람배치의 특징...1312 15. 우리나라 사찰의 시대별 가람배치 내가 답사여행을 다니기 시작했던 이유에 대해서는 많은 자리에서 이야기했던 거 같다. 자연을 좋아했던 마음에 건축이 보태지고, 역사를 더하면서 문화를 찾게 되고, 이제는 여기에 예술과 사상을 통해 나의 원형질에 대한 생각으로 이어지니 지금..
신라시대 삼층석탑 65> 화엄사 (5) - 국보35호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이형석탑의 완성 ... 1312 7)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 경전에 근거한 이형석탑의 완성 (5) 사사자 삼층석탑의 조형적 특징과 편년 지금까지 우리는 화엄사의 가람배치와 더불어 사사자탑이 조형된 시점을 추적하기 위해 화엄사에서 출토된 다양한 유물과 사료들을 검토해왔다. 이를 정리하면 1630년대 팔도도..
신라시대 삼층석탑 64> 화엄사 (4) - 3영역으로 분리된 화엄사 조성시기 검토...1312 7)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4) 대웅전, 각황전, 탑원 등 3영역으로 분리된 가람배치와 화엄사 조성시기 검토 그러면 이 화엄사는 언제 창건되었을까? 이 정도의 공간경영을 이룩한 시기를 알아보는 것도 꼭 필요하지만, 무엇보다 화엄사 사사자삼층석탑의 편년을 확인하기 위해서도 ..
신라시대 삼층석탑 63> 화엄사 (3) - 양보와 타협, 중용이 만들어낸 느슨한 균형...1312 7)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3) 백제 땅에 꽃피운 통일신라 가람배치 - 양보와 타협, 그리고 중용이 만들어낸 느슨한 균형 현재 우리들이 접하는 화엄사의 공간경영과 가람배치는 창건 당시와 동일하지 않을 것이다. 그리고 잦은 전란과 병화로 일본과 달리 통일신라시대의 목조건축..
신라시대 삼층석탑 62> 화엄사 (2) - 석축과 계단이 만든 공간경영의 미학...1312 7)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2) 화엄사 석축과 계단이 만드는 공간경영의 미학 나는 이런 공간경영이 완성될 수 있었던 것은 대웅전과 각황전 앞마당을 ◱모양의 2단으로 구획한 석축과 계단이라고 생각한다. 즉 석축과 계단의 넓이와 높이가 더하지도 덜하지도 않는 가장 적절한 ..
신라시대 삼층석탑 61> 화엄사 (1) - 평지형 산지가람배치 화엄사의 공간경영과 묘미...1312 7) 구례 화엄사 사사자 삼층석탑 - 경전에 근거한 이형석탑의 완성 (1) 화엄사 가람배치 - 평지형 산지가람배치 화엄사의 공간경영과 묘미 북악(태백산)과 남악(지리산)... 전남 구례의 지리산자락에 위치한 화엄사는 화엄사사적기에 나타나듯 화엄불국사(華嚴佛國寺), 화엄법류사(華嚴法..
신라시대 삼층석탑 60>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2) - 호국적 비보풍수 석탑의 등장...1312 6)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2) - 호국적 비보풍수 석탑의 등장 <신라와 통일신라시대 풍수비보의 목적으로 건립된 몇기의 탑을 찾을 수 있다... 그중 634년 분황사탑이 경주북천의 범람을 제어하기 위한 치수목적이 컸다면, 645년 황룡사 구층목탑은 대외적 역량과시를 위한 비보의 목적이..
신라시대 삼층석탑 59> 국보6호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1) - 석탑 편년설정의 다양한 관점...1312 6)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 풍수비보와 결합한 과도기 호국불교의 기념비 <충주 탑평리 칠층석탑... 이제 780년대 이후 과도기 석탑 중 사찰의 가람배치와 무관하게 호국적 개념의 풍수비보의 입장에서, 전통양식을 계승하되 기존의 삼층/오층이 아닌 칠층석탑의 양식을 적극적으로 차용..
신라시대 삼층석탑 58> 국보40호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 목탑의 축소 모형...1311 5) 경주 정혜사지 십삼층석탑 - 목탑의 완벽한 번안과 석탑의 모형화 780년대 이후 과도기 석탑 중 통일신라 석탑의 시원양식 중 하나인 탑리리탑의 양식을 차용하여 감실양식을 수용하고 지붕돌을 차용한 낙산동탑에 살펴봤으니, 이제 기단부와 몸돌 지붕돌 등 모든 양식에서 전통적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