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탑여행-趣,美,香...

(141)
신라시대 삼층석탑 19> 통일신라 석탑 조성순서를 판단하는 기준...1307 9. 700년대 전성기 통일신라의 석탑들... 1) 통일신라 석탑 조성 순서를 판단하는 기준 우리는 지금까지 백제의 석탑에서 통일신라 삼층석탑의 효시가 되는 고선사탑과 감은사탑까지 살펴봤다. 그렇게보면 우리나라 석탑역사는 정림사 오층석탑(570년 전후) → 분황사 모전석탑(632년) → 미..
신라시대 삼층석탑 18> 3)감은사탑과 고선사탑 - 통일신라석탑의 특징과 품격...1307 8. 통일신라 불교의 출발과 감은사/고선사지 삼층석탑의 진정한 의의 5) 감은사와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공통점과 차이점 (5) 전성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특징과 품격에 대해... (5) 감은사탑과 고선사탑의 공통점과 차이점 - 전성기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특징과 품격에 대해... 이제 진짜로..
신라시대 삼층석탑 17> 2) 감은사탑/고선사탑, 어느 탑이 먼저일까?...1307 5) 감은사와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공통점과 차이점 (1) 경주 동쪽 진출로 / 동해로 이어지는 길의 처음과 끝에 위치한 고선사탑과 감은사탑 (2) 석탑의 선후를 판단하는 근거들 (3) 고선사탑과 감은사 동서탑의 차이점 (4) 3탑의 선후를 가르는 주요한 논점들 - 어느 탑이 먼저 만들어졌을까? ..
신라시대 삼층석탑 16> 1)감은사탑, 고선사탑의 공통점과 차이점...1307 8. 통일신라 불교의 출발과 감은사/고선사지 삼층석탑의 진정한 의의 1) 감은사와 고선사지 삼층석탑의 의의 2) 통일신라 불교와 원효대사 3) 감은사/고선사 삼층석탑의 진정한 의미 - 거석신앙에서부터 출발한 석조예술의 일관성 획득 4) 통일신라인들이 삼층석탑을 만든 이유 5) 감은사와..
신라시대 삼층석탑 15> 삼층석탑이 만들어질 조건 - 6)삼층석탑이 선택된 이유...1306 8. 통일신라 불교의 출발과 감은사(고선사)탑의 진정한 의의 4) 통일신라인들이 삼층석탑을 만든 이유 (1) 불탑의 평면구성과 층수의 의미 - 중국/고구려/백제 (2) 통일신라시대 석탑 층수의 의미 (3) 삼층석탑이 만들어진 이유 감은사와 고선사에서 삼층석탑이 만들어진 이후에도 모든 석탑..
신라시대 삼층석탑 14> 삼층석탑이 만들어질 조건 - 5)감은사탑의 진정한 의의...1306 8. 통일신라 불교의 출발과 감은사/고선사탑의 진정한 의의 3) 감은사(고선사) 삼층석탑의 진정한 의미 - 거석신앙에서부터 출발한 석조예술의 일관성 획득 나는 감은사(고선사)탑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기 위해 상당히 많은 분야, 특히 불교의 근본적인 물음이라는 종교적으로 예민한 ..
신라시대 삼층석탑 13> 삼층석탑이 만들어질 조건 - 4)불교의 변화와 감은사탑의 의미...1306 8. 통일신라 불교의 출발과 경주 감은사/고선사탑의 진정한 의의 1) 감은사와 고선사지 삼층석탑(682년) 자, 이제 통일신라가 전성기의 토대를 갖춰가는 600년대 상황과 삼층석탑이 만들어진 기본 조건들을 살펴봤다. 정리하면 정림사, 미륵사, 분황사탑 등 목조건축의 번안과 전탑의 모방..
신라시대 삼층석탑 12> 삼층석탑이 만들어질 조건 -3)고구려, 당, 백제의 영향...1306 7. 600년대 초반부터 600년대 후반 문무왕대까지의 시대적 배경... 1) 600년대 이후 신라의 교통로와 영주, 의성, 군위 등 유물의 상관관계... 2) 추모와 결의를 위해 기념물이 세워진 지역들 - 600년대 탑과 불상의 내용과 상관관계... 3) 혼란스러운 600년대 중반 고구려, 백제 유민들의 신라유입 ..
신라시대 삼층석탑 11> 삼층석탑이 만들어질 조건 - 2)기념물이 세워진 지역...1306 7. 600년대 초반부터 후반, 문무왕대까지의 시대적 배경... 1) 600년대 이후 신라의 교통로와 영주, 의성, 군위 등 유물의 상관관계... 2) 600년대 신라에서 조형한 탑과 불상의 내용과 상관관계... 3) 혼란스러운 600년대 중반 고구려, 백제 유민들의 신라유입 - 기술력과 노동력은 어떻게 확보됐..
신라시대 삼층석탑 10> 삼층석탑이 만들어질 조건 - 1)신라의 주요 교통로...1306 7. 600년대 초반부터 600년대 후반 문무왕대까지의 시대적 배경... 1) 600년대 이후 신라의 교통로와 영주, 의성, 군위 등 유물의 상관관계... 2) 600년대 신라에서 조성한 탑과 불상의 내용과 상관관계... 3) 혼란스러운 600년대 중반 고구려, 백제 유민들의 신라유입 - 기술력과 노동력은 어떻게 ..
신라시대 삼층석탑 9> 신라석탑의 시원 - 2)국보77호 탑리리 오층석탑...1305 3)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시원 - 의성 탑리리 오층석탑 탄생 700년대 전성기 통일신라의 삼층석탑을 위해 이렇게 길게 이야기를 끌어온 걸 지켜본 사람들이라면, 당연히 정림사탑, 분황사탑, 그리고 왕궁리탑 등이 있어야 탑리리탑은 완성됐다고 말하려는 나의 의도를 눈치 채셨을 것이라 ..
신라시대 삼층석탑 8> 신라석탑의 시원 - 1) 국보30호 분황사 석탑...1305 6. 신라시대 석탑의 시원 - 분황사 석탑, 탑리리 오층석탑 1) 경주 황룡사 구층목탑 - 정복국가 의지를 표방한 신라 호국불교의 기념비 이제 백제에서 만들어진 석탑이 신라에 접목되는 과정과 양식적인 변화에 대해서도 살펴볼 필요가 있다. 먼저 시대배경부터 살펴볼까? 500년대 중반부터..
신라시대 삼층석탑 7> 백제석탑의 완성 - 국보289호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1305 5. 백제석탑의 완성 - 익산 왕궁리 오층석탑 1) 백제(정림사)계와 신라계 석탑의 특성 비교 2) 왕궁리 오층석탑 - 백제석탑의 완성과 석탑의 기단부 탄생... 3) 기단부와 일층몸돌의 비례를 통해 본, 백제 석탑의 한계와 통일신라시대 석탑의 변화 2011년 내가 좋아하는 공간이라는 글을 통해, ..
신라시대 삼층석탑 6> 2)우리나라 최초의 석탑은? 국보9호 정림사지 오층석탑의 양식과 배경...1305 4. 우리나라 최초의 석탑은 무엇일까? 미륵사지 서탑일까? 정림사지 오층석탑일까? - 정림사지 오층석탑과 미륵사지 서탑 세부양식 비교를 통해 본 추론 그리고 마지막 정림사탑과 미륵사탑의 양식적 변화 비교에서 어떤 게 더 시원적인 형태인가 하는 점이다. 두탑의 가장 큰 차이는 정..
신라시대 삼층석탑 5> 1)우리나라 최초의 석탑은? - 백제석탑의 탄생...1305 4. 우리나라 최초의 석탑은 무엇일까? 미륵사지 서탑일까? 정림사지 오층석탑일까? - 백제 석탑의 탄생 ; 정림사탑, 미륵사탑, 왕궁리탑 1) 우리나라 최초 석탑 논란과 관세음응험기 백제석탑과 신라석탑의 미감차이에 대해 정리했으니, 이제 본격적으로 백제석탑에 대해 알아볼까? 600년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