𝐈. 論 4. 우리 역사문화유산의 분류 1) 건축공간의 분류
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𝐈. 論 4. 우리 역사문화유산의 분류 집단이란 경계가 생기면 벽과 문이 생기고, 교류를 위한 길과 다리가 생기며, 이를 유지하기 위한 법칙과 의식(儀式)이 생긴다. 위와 아래, 내부와 외부, 지금과 미래에 대한 차이와 차별은 왕과 신, 국가와 종교, 지구와 세계에 대한 완성과 확대를 거치면서 시대별로 역사문화유산들을 남겼다. 공간과 공예의 형태로. 그러면 우리민족이 한반도에 남긴 유산들, 한반도의 문명, 한국의 문화, 한국적 미가 담긴 역사문화유산들은 무엇이 있고 어떻게 분류하고 접근할 수 있을까? 막연하고 또 막연한 이야기이지만, 나는 인류문화사라는 보편적인 흐름을 전제로 접근하면서, 공간과 공예라는 큰 틀을 앞에 두고서, 지금까지의 답사여행과 내가 보거나 ..
∐. 序 1. 한국적인 1) 우리나라 유네스코 세계유산
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 序 1. 한국적인 1) 우리나라 유네스코 세계유산 (World Heritage) * 세계 문화 및 자연 유산의 보호에 관한 협약에 근거, 세계유산위원회가 전담하고, 문화유산은 국제기념물유적협회(ICOMOS)와 국제 문화재보존 로마센터(ICCROM)가 도움을 지원하고, 자연유산은 국제자연보전연맹(IUCN)이 참여 * 유네스코가 지정하는 세계유산은 특성에 따라 역사고고학적 기념물과 건축물은 문화유산, 자연적으로 생성된 과학상, 보존상, 탁월한 미의 가치를 지닌 경우는 자연유산, 두가지를 모두 충족하면 복합유산으로 분류되는데 이중 77.5%가 문화유산이다. * 2015년 기준 등재된 세계유산은 총 1,031건으로 문화유산 802건, 자연유산 197건, 복합유산 ..
∐. 序 1. 한국적인 2) 우리나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 序 1. 한국적인 2) 우리나라 유네스코 인류무형문화유산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of Humanity) * 세계문화유산 무형문화유산은 집단 공동체에서 역사, 자연, 환경적 상호작용에 따라 재창조한 각종 지식과 기술, 공연예술, 문화적 표현 등을 의미. * 유네스코는 산업화, 지구화 과정에서 급격히 소멸되고 있는 무형문화유산을 보호하고자 2003년 무형 문화유산 보호 협약을 채택하여 무형문화유산 대표목록, 긴급보호가 필요한 목록, 모범사례 등을 등재, 2019년 현재 122개국 총 508건이 등재, 한국은 북한과 공동등재 1건을 포함하여 총 21건이 등재. ①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2001년), ② 판소리(2003년), ③ 강..
∐. 序 1. 한국적인 7) 홍예교 - 아치
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 序 1. 한국적인 7) 홍예교 - 아치 ; 구조가 의장이 되는 인간이 만든 가장 자연스러운 선 * 직선은 인간의 것이고 곡선은 신의 것(가우디)이 맞다면, 아치는 인간이 만든 신의 선이다. * 아치 구조물은 건축을 비롯해 다리, 수로교 등에 사용된 석조구조물이다. 그 중 내가 관심을 갖는 분야는 다리고, 다리는 하천이나 강, 계곡을 건너는 교통수단이다. 즉 길의 하나이며, 길은 사람이든, 우마든, 군대가 지나가든 소통의 통로다. 일상적인 통행을 보장하는 영구적인. * 그런 이유로 다리는 오늘날로 사회간접자본에 해당하는데, 과거 우리의 사회간접자본은 정말 빈약하다. 그 규모도 작다. 몬순기후와 지리적 특성도 있겠지만, 실용성을 잃어버린 관념에 의존한 시스템,..
∐. 序 1. 한국적인 6) 문
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 序 1. 한국적인 6) 문 : 벽의 숨통, 인간이 만든 경계를 넘나드는 소통의 관문, 위계와 품계의 차이를 넘나드는 통과의례. * 경계(境界)가 있으면 벽이 있고, 벽이 있으면 문과 창이 있다. 문은 경계의 관문이다. * 문은 크게 두 가지다. 벽을 뚫은 문과 길을 막은 문(개선문, 일주문 등)이 그것이다. * 벽을 넘으면 도둑과 강도가 되고, 문고리를 잡고 문을 열면 손님이 된다. * 문고리에 장식이 생기고, 문을 열고 닫는 행위에서는 의례(품계와 격식)가 만들어진다. * 우리나라의 문은 성문, 관문, 일주문(一柱門, 기둥이 하나가 아닌데 일주문이다), 누하문(사찰, 서원, 향교 등), 회전문(廻轉門에는 문이 없다), 대문채, 삼문 등이 다양하게 있으나 ..
∐ . 序 1. 한국적인 5) 무덤, 능, 묘
한국적인 건축공간(建築空間)과 공예(工藝) ∐. 序 1. 한국적인 5) 무덤, 능, 묘 : 존재에 대한 기억과 볼 수 없는 세상과의 소통 ; 인간이 만든 최초의 문화, 최후의 문화 * 인간의 공간이면서 인간이 아닌 자의 공간으로, 산자들이 만든 죽음의 공간이다. * 육체의 공간이면서 정신의 공간이며, 이승의 영역이면서 눈으로 볼 수 없는 저승의 영역. * 본능에서 탈각한 인류가 시간의 영속성과 세계관을 갖추고, 공공적 목적으로 집단적으로 만든 인류 최초의 건축은 죽음의 공간이다 ; 고인돌, 피라미드, 병마총, 적석총, 전방후원분 등 * 집중된 권력이 사회구성원 모두의 자본과 지혜를 담아, 산자들의 거주공간보다 더 크고 높게 만든, 멈춰 상실된 생명에 영원한 시간을 부여하는, 그 시대 그 사회의 기념비. ..